국민행복기록관을 광화문 광장에 설립함으로써 분쟁의 장소로 뒤바뀐 광장을 행복이라는 공통된 키워드로 종교, 신념, 이데올로기, 문화를 초월하여 협치와 상생의 길로 나아갑니다.
왕조시대에는 왕조실록이 있다면 대통령기록관, 국가기록관도 소중하지만 민주주의 시대에는 국민기록관이 당연히 있어야 합니다.
다수의 국민들은 개인 기록관을 짓기가 불가능합니다.
이를 국가가 나서서 기록관을 지어 준다면 국민주권을 실현하는 일입니다. 사업을 공지한 후 원하는 기초자치단체부터 시행합니다. 리마인드웨딩 / 디지털회고록 / 자서전 / 메모리얼 영상제작 등을 비즈니스 모델로 합니다.
폐교를 활용하여 국토균형발전과 디지털청년(남녀노소구분없음) 직업훈련 및 워크샵을 통한 행복증진
데이터 수집, 정리,제작 참여업체(입찰/수의계약) 국가가 지원해줌(차등지원)
디지털문화 트렌드 반영
디지털 정부, 디지털 경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디지털 시대' 최근에 이런 단어들을 자주 보지 않았나요? 요즘 뉴스에 '디지털'이란 단어가 부쩍 자주 등장해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모든 산업 영역에서 디지털화가 급진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탓이에요.대학생들은 온라인 수업을 듣고, 직장인들도 원격 미팅이 많아졌죠. 가수들은 가상 콘서트를 하고, 엄격히 규제를 받던 원격 진료도 조금씩 빗장이 풀리고 있어요. 정부도 '디지털 정부'를 표방하며 여러 계획을 발표하였어요.세상이 정말 빠르게 변하고 있네요. 알리바바의 창업자 마윈은 "변화 있는 곳에 기회 있다."고 말했어요. 이런 시대에 우리에게는 어떤 기회들이 있을까요? (출처: 웬뉴)
디지털뉴딜 정책
디지털청년(남여노소) 일자리 창출
개인폰, PC 영상,사진,문서 정리대행, 제작,유지,보존
OECD가입국 자살율1위, 행복지수 꼴찌 현실
국민행복지수로 정책 수립, 행복하고 안전한 대한민국과 다음세대를 위해서 많은 응원과 지원 바랍니다.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모집된 자금은 광고, 공감여론 형성 정부정책수립화(디지털뉴딜 정책, 네이버 서버 연동(기업후원)를 위한 홍보 등에 사용됩니다.
어머니의 육성과 영상을 폰으로 기록하던 중 '이 기록물이 손자에게까지는 전달되지 않겠구나'가 SEED THINK 였습니다.
이후 하남시 사회적경제 창업아카데미(캐어유), 사회적경제 창업입문과정(고용노동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오마이컴퍼니) 통해 소셜미션이 생겼습니다.
해결하고자 하는 사회문제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 및 관련 경험
추모공원 근무경력과 왜곡된 추모문화
계약자와 부모님의 의견충돌(화장/납곱/풍장/수목장/산골/매장/봉안담/봉안묘) 경제적 부담과 형제들간의 의견충돌, 불화
고가의 명당자리 선호(자손번창), 묘지의 유한성(혐오시설로 신규 인허가 어려움), 장지문화 양극화, 좋은 자리에 부모님을 모시지 못하면 불효라는 잘못된 효문화. 추석,명절 극심한 교통체증과 2030세대의 형식적 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