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시절부터 20여년간 부산 최초 나이키 골프 프로 선수로 활동했습니다.
2017년 5월 뜻밖의 오토바이 사고를 당한 후 척수가 손상되었고, 사지마비로 지체장애 중증을 판정받게 되었습니다.
가만히 주저앉아 있을 수는 없었습니다.
피눈물 나는 노력으로 재활과정을 거쳤고, 현재는 부산시 휠체어럭비선수로도 활동할만큼 예전 기력을 회복하고 있습니다.
실제 제가 장애인이 되고 나니 장애인과 관련된 여러가지 데이터와 불편함들을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대한민국 100명 중 5명은 장애인
한국의 장애인 인구 255만명, 전체 인구의 4.9% (2017년 기준)
이 들 중 90%는 모두 후천적 원인으로 장애인이 되었습니다.
그 누구도 갑작스런 사고도 인해 후천적 장애인이 될 수 있다는 것 입니다.
또한 전체 장애인구의 절반가량이 몸이 불편한 지체 장애인으로 대부분이 휠체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거동이 불편한 노령인구까지 합치면 휠체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그 이상으로 추청됩니다.
휠체어를 사용하는 저에게도 가장 큰 문제로 다가온 건 '이동의 불편함' 이었습니다.
다양한 휠체어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고, 수동휠체어와 전동휠체어, 전동스쿠터의 단점을 보완한 탈착형 전동보조키트도 있습니다.
탈부착이 가능한 수동식 휠체어 전동보조키트는 수동 휠체어에 부착하여 전동휠체어처럼 활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탈착하여 실내에서는 수동식 휠체어로 자유로운 활용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수동식 휠체어 전동보조키트도 비 장애인들의 스쿠터, 퀵보드같은 핸들 조작부로 되어있어 반드시 손이 핸들에 닿을 정도로 뻗을 수 있어야하고, 몸통 조절과 손의 쥐기 능력이 없으면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고안해냈습니다.
기존 사이클 선수용 직각 핸들부에서 아이디어를 착안했습니다.
자신의 팔길이에 맞추어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팔꿈치 패드에 기대어 조작 가능, 앞으로 체중 지지 시 앞바퀴 들림 현상이 감소됩니다.
현재 장애인 자동차 가/감속 조절 장치에서 착안하였습니다.
왼쪽 핸들부는 제동, 오른쪽 핸들부는 가/감속이 가능하며, 손목의 움직임만으로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사용자의 앉은 키, 팔 길이 등에 따라 핸들부와 몸통의 간격 조절이 가능합니다.
사용자의 기능 수준과 편의성에 맞도록 핸들부의 경사 조절이 가능합니다.
- 상위 4개 제품 기능 분석(80% 완료)
- 중국 현지 공장의 샘플을 토대로 MVP 검증을 위한 초안 제작(80% 완료)
- 맞춤형 핸들 3D 프린팅 도면 제작(30% 완료)
- 앱 개발 업체 선정 및 협약체결(100% 완료)
- 부산시기술창업지원사업 12기 선정
- 예비창업패키지 선정
몬스터드라이브는 제품 판매/렌탈 수익, 장애인시장데이터 확보, 휠체어전용맵, 휠체어관광동선맵, 광고수익등이 발생하게 됩니다.
*출처 : 보건복지부, 한국척수장애인협회(2018년 기준)
장애인구는 현재 전 인구대비 5.4%로 20명 중 1명이 장애인으로 조사되고 있습니다. 그 중 휠체어시장의 주요 고객인 지체장애인구 중 척수장애인 수도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단위 : 천개)*출처 : A GLOBAL Strategic Business Report(Global Industry Analysts Inc, FEB 2011)
전세계 전동휠체어, 전동 스쿠터 시장은 미국과 유럽, 아시아의 시장이 상대적으로 크며, 그 중 미국이 절반가량을 차지하고 있으며 전체 시장 규모는 매년 약 10~12% 정도 성장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나이키골프 프로 골퍼
척수손상 C6 레벨
부산 휠체어 럭비 선수
전략기획연구원 정시우
삼성중공업 / 인턴
아트라스콥코제조한국㈜ /Field Service Engineer
조은D&C /영업부, 인사부
오토닉스/생산지원관리 일본물류생산수출지원관리
사회복지사 2급
폴리텍대학 정보통신시스템
기술개발연구원 임영호
힘 스포츠 재활센터 팀장
스포츠 락커룸 부산지점 센터장
부산대학교 여자농구 팀 의무트레이너
여자축구 대구 WFC 팀 의무트레이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