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식개선 교육 의무화
국가기관 및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
어린이집, 유치원, 초ㆍ중ㆍ고등학교, 대학교 등의
직원과 학생1년에 1회 이상
(장애인복지법 25조)
모든 사업주 직장 내 장애인식개선 교육 의무 실시
전국 395만 개 사업체 및 2200만 근로자를 대상
(2018년 5월 장애인 고용법 시행령)
(자료 : 2020년 기존 장애인식개선 미디어 콘텐츠)
마지막으로 들은 장애인식개선 교육을 떠올려보면 굉장히 딱딱하고 지루했던 경우가 많으실 겁니다.
또, 해당 영상에 장애인 당사자성이 떨어지는 경우도 많이 있죠.
이러한 불편함은 실제 현장의 목소리를 통해서도 알 수 있죠.
장애인식개선 교육을 하려해도 알맞은 콘텐츠를 찾는 것 또한 어려운 일입니다.
현대사회는 가히 콘텐츠 사회라 부를 수 있을 만큼 다양한 콘텐츠들이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또 이에 맞춰 법 또한 변화되고 있죠.
하지만, 안타깝게도 장애인식 관련 콘텐츠의 경우 타 콘텐츠에 비해 그 비율이 적습니다.
장애인식 관련 콘텐츠가 적다는 사실에 7년 전부터 조금씩 장애인식개선 콘텐츠(영상, 포스터, 정보 자료)를 온라인에 올리기 시작했습니다.
그때부터 학교, 복지관, 장애인활동지원기관 등, 각종 기관에서 교육 자료를 요청받는 등 호응을 얻어왔습니다!
바꾸는 안테나는 딱딱하고 지루한 장애인식개선 콘텐츠를 장애인이 직접 들려주는 재미있고 획기적인 콘텐츠로 변화시키고자 합니다.
더불어 장애인식개선 콘텐츠 전문 플랫폼을 통해 이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것입니다.
콘텐츠의 메인배너 또한 요즘의 감성을 담아 무겁지 않고 즐거운 분위기로 제작해 이용 장벽을 낮추고자 합니다.
바꾸는 안테나의 타겟 시장은 콘텐츠산업시장 중 장애인식개선 콘텐츠가 필요한 곳으로 파악됩니다.
우리 사회는 점차 인권 감수성이 높은 사회로 발전해 나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관련 노동시장은 증가하였지만 기반이 되어야할 교육 콘텐츠는 턱 없이 부족해 필요성 느끼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나와있는 장애인식개선 콘텐츠를 비교하였을 때, 바꾸는 안테나는 그동안 부족했던 부분을 실질적으로 채워줄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바꾸는 안테나의 비즈니스 모델은 다음과 같습니다.
바꾸는 안테나는 콘텐츠 제작을 시작으로 네트워크 형성과 인력 개발을 이뤄 교육 컨설팅 서비스 제공 또한 목표하고 있습니다.
국내 유일
장애인의 이야기를새롭고 다양한 방식으로 담아내는
장애 교육 콘텐츠 플랫폼
위 목표 달성까지 약 3년의 준비기간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현재 서울 은평구 서울혁신파크에 입주해, 다양한 조직들과 네트워크를 맺을 수 있으며 장애관련 단체들과의 협력 또한 준비하고 있습니다.
저희는 세상이 보여주지 않았던 다양한 장애인의 모습을 만들고, 이야기하고, 보여줄 것입니다.
그것을 위해 장애 당사자성을 확고히하고 현재 시장의 감성에 맞는 모습으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읽어주신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