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된 계기

 

" 도우누리는 함께 소유하고 민주적으로 운영하는 협동조합입니다."

 

   사회적협동조합 도우누리는 사람이 태어나서 생을 마감할 때까지 필요한 돌봄을 제공하는 미션을 위해 립된 협동조합입니다 2015 10월 현재, 264명의 조합원이 가입을 하였으며 이중 189명이 직원조합원입니다. 

   도우누리는 늘푸른돌봄센터(재가서비스), 광진아동청소년발달센터시립중랑노인전문요양원(서울시 수탁운영) 280여명의 요양보호사사회복지사간호사가 재직중이며 600여명의 돌봄이 필요한 산모신생아아동장애인어르신조손가정 등에 서비스를 전해 드리고 있습니다.

 

  

 

   


 <도우누리는 도움을 나누는 세상이라는 뜻으로 우리 조합의 가치를 담고 있습니다>


 

 

​" 우리 엄마를 믿고 맡길 수 있는 요양원을 찾을 수 있을까요? "

   ​최근 방송에서는 100시대라고 말합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더 많은 시간을 병석에서 보내야한다 며 우려를 이야기하기도 합니다특히 고령의 삶을 살면서 스스로의 거동이 어려워지고 치매로 관계망이 깨지는 부모님과 어르신들이 늘어나면서 가족들의 힘이 부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습니다그래서 ‘가족의 돌봄을 넘어 ‘사회적 책임 돌봄으로 제도화 된 것이 노인장기요양보험입니다노인성 질환으로 거동이 어려워지고치매로 생활이 깨지기 시작하면서 전문 자격을 갖춘 요양보호사와 간호사가 가정을 방문해서 일상생활을 돕고 식사 수발과 삶 전반의 동반자가 되어 주고 있습니다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더 병약해지는 부모님과 심각한 상황을 연출하는 치매 어르신을 모시는 것은 가족에게 점차 힘겨운 시간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그때에 우리는 이런 질문을 받습니다.

 

   “우리 엄마를 요양원으로 보내야만 할까요?”

   “우리 엄마를 믿고 맡길 수 있는 요양원을 소개시켜 줄 수 있나요?”

   “도우누리가 운영하는 요양원에 당장 들어 갈 수는 없나요?”

 

 

   이런 문의를 하시는 가족들과 이야기를 나누다보면믿을 수 있다는 것은 부모님을 살갑게 대하고기저귀도 자주 갈아주고자기 부모처럼 돌봐주는 것이라는 단순한 답을 받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생각했습니다자녀를 위해 뜻있는 부모들이 힘을 합쳐 보육시설을 만들고공동육아를 하듯이 우리의 부모를 위해또는 누구나 피해갈 수 없는 병약한 노년기를 위해 공동요양의 공간을 만들고 함께 운영하면 참 좋겠다고요바로 “협동조합 요양원”을 생각하게 되는 이유입니다.

 

 

 

  02. 프로젝트를 통해 해결하고 싶은 사회 문제 

 

 

"요즘 애들 눈치가 보여아무래도 요양원에 가야 할까봐, 

막상 요양원을 간다고 생각하니,  집 나가서 인생의 끝을 맞이하네…"

 


"엄마가 요양원에 가면 버려진다고 생각하시고요즘 우울해 하세요

 

저도 퇴근 후 엄마를 돌보는 일이 힘에 부치네요.​"

 

 

   대한민국 대부분의 가정이 맞벌이를 합니다이제는 가족이 노인성 질환으로 거동이 불편해지고 치매로 일상생활이 어려운 부모님과 어르신을 감당하기에는 너무 어려움이 큽니다. 어느 날 찾아 온 엄마의 치매는 가족들을 하나로 뭉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따로 사는 딸들도 더 자주 엄마를 보러오고, 멀리 지방에 거주하는 막내도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엄마가 아파서 마음도 아프지만 가족의 관계에서 다시 엄마를 만나게 되었습니다. 더우기 늘푸른돌봄센터에서 나오시는 요양보호사의 도움이 큰 힘이 되었고 가족은 다시 웃음이 생겼습니다.

   하지만 너무나 힘든 경우도 있었습니다. 좀처럼 호전되지 않는 아버지를 보면서 실망하고 불투명한 미래가 가슴을 조여오면서 딸은 희망을 잃어버리기도 합니다. 며느리가 우울증에 걸리기도 하고힘든 상황을 극복하지 못한 채 스스로 목숨을 끊거나 사랑하는 가족도 죽이는 뉴스를 맞닥뜨리곤 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생각했습니다더 늦어지면 안 되겠다고!!!

   내 집 같은 요양원을 만들어서 이러한 요양원도 있고이렇게 운영도 할 수 있다는 인식을 사회 안에 널리 퍼트려야 겠다고 말입니다그러기 위해서는 더 많은 사람이 이런 사회문제에 관심을 가져주어야 하고함께 목소리를  힘을 낼 수 있을 겁니다모님을 시설에 보내면서 가지는 자식으로서의 부담감어르신이 느끼는 버려졌다는 우울감을 해소하고 가족처럼 살가운 돌봄내 집처럼 즐겁게 생활하는 공간치매에 걸리신 어르신이 행복했던 추억을 소중하게 간직하는 요양원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요?

우리가 상상하는 요양원을 만드는 데 힘을 보태주세요.

  03. 이 펀딩에 참여하시면 참 좋아요.

 

​     첫 번째대한민국 최초의 “협동조합 요양원을 만드는 데 기여합니다.

     두 번째, “협동조합 요양원”의 조합원이 되실 수 있습니다.      

     세 번째, “협동조합 요양원이 설립 후 운영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이 펀딩에 참여하신다면, ‘협동조합 요양원’ 설립과 투명하고 민주적인 요양원 운영을 통한 사회혁신에 기여하시는 것입니다. 협동조합 요양원 만들기가 한 발짝 나아가는 것이지요. 함께 걸어주세요.

 

 

  04. 여러분들의 투자금은 이렇게 사용됩니다.

 

  협동조합 요양원을 설립하는 데는 약 30억원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번 펀딩으로 모여진 자금은 "협동조합 요양원 만들기"의 설립자금으로 사용됩니다. 

 

 

 

  05. 펀딩에 참여하시는 분들에게 드리는 선물

  

 30,000원 후원 : 기부금 영수증발급(연말소득공제용) + 운영현황 및 경과공유 정보제공

 50,000원 후원 : 기부금 영수증발급(연말소득공제용) + 운영현황 및 경과공유 정보제공

 100,000원 후원 : ​기부금 영수증발급(연말소득공제용) + 운영현황 및 경과공유 정보제공

 10,0​00,000원 후원 : 조합원 가입. 협동조합요양원 설립 후 운영에 참여할 수 있음. 출자금은 조합원 탈퇴시 100% 환급. (단, 도우누리는 사회적협동조합임으로 배당금은 없음.)

 

 * 이번 펀드에 참여하시는 분 중에서 소득공제를 원하시는 경우 기부금영수증을 발급해 드립니다. 사회적협동조합 도우누리는 기부금단체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06. 사회적협동조합 도우누리를 소개합니다.

 

"사실 시립요양원을 위탁 받게 된 데에는 우리 전략 비전과도 연관이 있습니다. 우리 비전은 지역을 거점으로 해서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필요한 모든 돌봄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것인데, 그러기 위해서는 요양 시설이 반드시 필요했어요. 집에서 돌보는 재가 서비스만으로는 한계가 있거든요. 노인들이나 장애인들의 경우에 집에서 돌봄 서비스를 받다가도 병환이 악화되면 시설에서 보호를 받아야 하거든요. 그런데 현재의 시스템에서는 한 번 요양 시설에 들어가면 나오지 못 합니다. 시설에 들어갈 때 대부분이 `아 나는 이제 끝이구나`라고 느껴요. 시설에 들어갔다가도 상태가 호전되면 집으로 돌아올 수 있어야 하거든요. 그런데 현재 시설과 재가 서비스가 분리된 시스템에서는 시설과 재가 서비스가 선순환 구조로 돌아가지 못합니다." 

                                                  - 민동세 이사장, 프레시안 인터뷰 중에서 인용

 

사회적협동조합 도우누리의 미션과 비전이 잘 소개된 뉴스기사를 소개합니다.

 

 

 

 

 활동사진

 

  

  

 

  

 

 

​​​​​​​​

 

● 사회적협동조합 주요연혁

  ○ 2008.02 늘푸른돌봄센터 자활공동체 인정(광진구청, 2008-1)

  ○ 2009.12 사회서비스바우처사업 공헌 보건복지부장관 표창(67954)

  ○ 2010.01 사회적기업 인증(고용노동부2009-53)

  ○ 2012.01 노인돌봄(종합)서비스 유공 보건복지부장관 표창(80903)

  ○ 2013.04 사회적협동조합 도우누리 설립인가(보건복지부 인가제1)

  ○ 2013.06 광진아동청소년발달센터 개소(광진구 자양4 3-9 2)

  ○ 2013.07 보건복지부 best자활기업 선정

  ○ 2013.09 서울시립중랑노인전문요양원 위수탁협약체결(11.01 운영

  ○ 2013.10 기획재정부 협동조합운영 우수사례 선정

  ○ 2014.02 서울시우수사회적기업 인증(2014-5)

  ○ 2014.09 사회복지의 날 기념 서울시장상 표창(1698)

  ○ 2015.02 서울시우수사회적기업 재인증

  ○ 2015.07 기획재정부 협동조합 유공자 표창(제2015-713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