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사회문제,차별,저예산

제목- 잃어버린 꿈 (가제)


1.시놉

요즘 가장 사회문제화가 되고있는 정규직과 프리랜서의 차별, 남녀차별.

직장 내 괴롭힘 사건을 방송국의 여자 아나운서를 중심으로 진행합니다. 감성적인 여성들 우정을 중심으로 사회적 메세지를 나타낼 예정입니다

 

2. 기획의도와 관람 포인트

저예산영화로서 요즘 모든 직장인과 사업자에게 문제가 되고있는 정규직과 프리랜서의 차별. 남녀 차별. 직장 내 괴롭힘 사건을 다루면서 언론의 관심과 사람들의 관심으로 흥행이 가능합니다.

딱딱할 수 있는 소재를 감성적인 노래와 여성감성으로 표현하여 재미있게 그리려 했습니다. 최근 방송국 괴롭힘 사건이 크게 문제화 되어 부러진 화살이나 도가니같이 현실반영의 영화로 많은 사람의 관심을 불러일으킬 것입니다. 

최근 영화 신명이 흥행하는 이유도 시의성 강한 화제성 때문입니다.
영화는 정확한 시장분석과 트랜드를 파악하여야 성공합니다.

새로운 관객 요구를 파악 못하고 새롭고 신선한 차별된 영화를 못 만들고 구태의연한 비슷비슷한 오락영화만 만들어 관객들 외면으로 실패하는 것입니다.

어릴 적 부터 단짝인 두 여성의 꿈과 우정 그리고 사회에서의 구조적인 문제로 좌절하는 이야기, 아나운서 등 젊은 커리어 우먼을 대상으로 한 여성들의 꿈과 좌절이 주제인 이색적인 영화입니다. 


3. 제작비

제작비는 아직확정이 안되었지만 10억미만의 저예산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노동자단체에서도 모금을 할 예정입니다. 현재 극장 상황에 따라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저예산영화를 선택했습니다.


4. 만드는 사람들

영화제작사 은가비
대표는 공인노무사 .노동문제 전문가
영화 작가 연출과정 수료
2022년 스토리 공모전 당선
단편영화 해방 연출
영화 잃어버린 꿈 기획과 각본

제작- 박은우

피디- 김중석

대표가 전문직으로 일했던 분야가 노동법분야여서 노동관계영화인 이 영화에서 충분한 시너지효과를 창출할 것입니다. 

 

5. 프로젝트 진행일정

  1. 2025년 6월- 시나리오 완성
  2. 2025년 7-8월- 크라우드 펀딩 모금
  3. 2025년 9-10월- 프리 프로덕션 진행
  4. 2025년 11-12월- 촬영
  5. 2026년 1-3월- 후반작업
  6. 2026년 3-4월- 개봉준비와 홍보
  7. 2026년 5월- 개봉. 리워드제공

 

6. 펀딩 모금액 사용계획 

-사전기획 각본비
-제작 인건비. 장소헌팅. 장비료
-배우 인건비
-진행비
-임차료(종편실,녹음실,OAP,CG,차량)
-음향·영상재료비
-후반부작업
-마케팅 및 예비비

 

7. 리워드 구성

1만원 이상 펀딩 시: 리워드 없음 
10만원 이상 펀딩 시: 시사회 2매
100만원 이상 펀딩 시: 시사회 4매, 엔딩크레딧, DVD, 영화 행사 초대
300만원 이상 펀딩 시: 시사회 6매, 엔딩크레딧, DVD, 영화 행사 초대, 영화 관련 은반지 제공  

 

8. 배우

여성들이 주로 나오는영화로서 권유리. 김소현. 이엘리야.

 

9. 홍보전략

영화에 괸심있는 프리랜서와 비정규직 노조 등에 홍보하여 동참을 유도할 생각입니다. 상업영화에에 물든 충무로는 투자가 어렵고 결국 크라우딩 펀딩으로 하게되었습니다. 좋은 사회와 노동환경으로의 변화를 꿈꾸며 영화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영화 상영 수익금은 직장 내 괴롭힘 방지를 위한 재단설립에 사용할 생각입니다.

문의- cc5262@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