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해주,고려인,민족학교,한글학교,최재형

 

연해주 [최재형 고려인 민족학교]에 전하는 따뜻한 겨울 선물

" 학교 운영기금 마련 캠페인 "

 

 


연해주 [최재형 고려인 민족학교]가 

코로나19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지원이 끊겨

운영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고려인 민족학교 학생들이 우리말과 문화를 배울 수 있도록

도움의 손길이 필요합니다.

 



사진설명: 최재형 고려인 민족학교 @우수리스크 테르메츠코보 7

 


 

연해주 [최재형 고려인 민족학교] 는

2019년 연해주 우수리스크에 [고려인 민족학교]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습니다. [고려인 민족학교]가 정식으로 설립된 것은 2019년이지만, 우수리스크에 한글교육이 시작된 것은 그보다 20여 년 전인 2000년이었습니다.

당시 연해주 <원동신문> 편집장 김발레리아 선생을 비롯한 우수리스크의 고려인 유지들이 [한글학교]를 설립했던 것이 그 시작이었지요. 김발레리아 선생은 [한글학교]의 교사로 재직해오던 중, 2019년 정식으로 [고려인 민족학교]를 설립하였습니다.

그리고 이듬해(2020년) [최재형 고려인 민족학교]로 개명하였는데, 일제강점기 연해주의 고려인 지도자 최재형 선생을 기리고, 그분의 철학과 민족애를 교육이념으로 삼기 위해서였습니다. 

 

고려인은,

1863년 함경도의 동포들이 북녘의 기근을 피해 러시아 영토로 처음 이주하여 지신허 마을을 세운 뒤, 연해주 곳곳에 자리 잡고 살아가는 우리 동포 입니다. 고려인은 구한말과 일제강점기에 항일의병활동과 독립운동의 선봉에 섰고, 연해주는 항쟁의 배후지가 되었습니다.

 

연해주 고려인들은 스탈린 시기(1937년)에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송되었습니다. 일본 간첩들과 구분이 어렵다는 것이 이유였고, 중앙아시아의 농토 개간에 투입하기 위해서였습니다. 17만 명의 고려인 동포들은, 연해주에 마련한 터전을 잃고,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으로 이송됐습니다. 고려인들은 춥고 척박한 중앙아시아의 황무지에서 1980년대까지 집단농장을 중심으로 처절한 생존투쟁을 하게 됩니다.

소련이 해체되고 중앙아시아의 각국이 독립하자, 고려인들이 연해주로 돌아오기 시작했습니다. 1990년부터 약 3~4만 명의 고려인들이 연해주로 돌아왔고, 그중에서도 조부모의 고향인 우수리스크에 재정착하기 시작했습니다.

재러동포 3세와 4세가 주축을 이룬 고려인 사회에서 5세들은 한국말과 문화를 잘 모릅니다. 부모들은 자녀에게 조상의 말과 문화를 가르치고 싶어하였고, 이들의 자녀를 위해 [한글학교]가 설립되었고, [최재형 고려인 민족학교]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김발레리아 교장 선생님은,

2019년 연해주 [최재형 고려인 민족학교]를 설립하고, 지금도 학교를 이끌고 있습니다. 

김발레리아 선생님은 우즈베키스탄에서 고려인 3세로 출생하였는데, 이는 조부께서 1937년 고려인 강제 이송으로 그곳에 정착하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1982년 우즈베키스탄 국립문화예술대학을 마치고 약 10년간 활동하다가, 1990년 연해주 우수리스크로 이주하였지요. 소련이 해체되고 우즈베키스탄이 독립하자 바로 할아버지의 고향으로 돌아온 것입니다. 이때 김발레리아 선생님은 아버님의 교훈에 따라 고려인 교육운동에 헌신하기로 하였다고 합니다.

평생을 연해주 고려인 공동체를 위해 일해 온 만큼, 김발레리아 선생님의 수상 경력도 화려합니다. 2008년에는 러시아정부로부터 “국가문화전통에 대한 공헌”을 인정받아 <명예시민>으로 추대되었고, 2012년에는 우수리스크 시정부로부터 “소수민족 문화발전에 이바지”한 공로로 감사장을 수여받은 바 있습니다. 2013년에는 “러시아 소수민족 협력에 공헌”한 것이 인정되어 감사장, 2015년에는 연해주 주정부로부터 “<고려신문> 편집장(2004-2019)으로 재직하면서 러시아 소수민족 문화전통 발전을 도모”한 공로로 명예시민증서, 2019년에는 “연해주 고려인 문화전통에 공헌”한 공로로 다시 감사장을 수여받은 바 있습니다. 그리고 마침내 2020년에는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세종문화상 대통령상을 수상하였습니다.

김발레리아 선생님은 강인한 함경도인의 후손이고, 우즈베키스탄과 연해주에서 민족 자존심과 자조적 행동방식을 연마하였습니다. 그런 분이 도움을 요청하셨다면, 진짜로 도움이 필요한 것입니다. 재일동포, 고려인동포와 서로 돕는 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무용신>이 지체 없이 캠페인을 시작한 이유입니다.

 


동포나 민족이라는 말이

특정한 이념이나 이익을 위한 좁은 의미가 아닌

온정과 사랑의 근간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최재형 고려인 민족학교]가 재정난에서 벗어나

안정적인 학교 운영이 가능하도록

 후원의 손길을 부탁드립니다.

 

고려인 학생들에게 따뜻한 겨울 선물을 전하는데 동참해 주세요.

 

후원금 전액은 연해주 [최재형 고려인 민족학교]

임대료 및 영구터전을 위한 기금으로 전달됩니다.

 


크라우드펀딩 일정:

펀딩 참여 방법:

진행자 소개:

진행자: <무용신> 캠페이너

재일 동포 그리고 고려인 동포와 힘을 합쳐 서로가 서로를 돕는 다양한 캠페인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프로젝트팀 입니다. 동포나 민족이라는 말이 특정한 이념이나 이익을 향한 좁은 의미가 아닌, 온정과 사랑의 근간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다양한 프로젝트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문의처:

궁금하신 점이 있으면 아래 연락처로 문의해 주세요.

- 이메일: hello.goeunlee@gmail.com
- 연락처: 010-7572-02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