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자산화,사회적협동조합 사람과공간,공유공간자산화,커먼즈,commons

 

🤷 공동체공간자산화? 시민자산화? 공유지? 커먼즈?


이런 말들을 들어 보셨나요?

서울시 강서구 우장산로2길6. 이곳에는 3층 짜리 아담한 건물이 있습니다.
사람과공간은 건물의 이름이자, 이 건물을 마련하기 위해 모인 7개 단체를 아우르는 이름입니다.

사회적협동조합 사람과공간이 해낸 일이 바로 공동체공간 자산화입니다.
우리가 펴 내고자 하는 책 <시민 자산화로 로컬의 거점 공간 만들기>에는 사회적협동조합 사람과공간이 작지만 소중한 공동체 공간을 마련하기까지의 과정이 담겨 있습니다. 

이 책을 통해 각 단체의 사무 공간, 노동 공간을 넘어서 함께 공유하고 나누며 각자의 사회운동을 지역으로 확장하려 했던 우리들의 분투가 담긴 의미 있는 과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공동체를 가능케 하는 기본적인 요소인 공간, 건물, 토지 등은 부동산이나 사유재산의 개념 안에 갇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재개발이나 젠트리피케이션 같은 내몰림 현상이 일어나 마을과 공동체가 붕괴되어도 개인이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은 별로 없습니다.

특히 도시에서는 시민이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 별로 없기 때문에 공공에서 운영하는 도서관, 주민센터 등을 제외하고 주민들이 자유롭게 모이거나 만남을 도모할 수 있는 공간을 떠올리기 쉽지 않습니다. 마을회관, 경로당, 놀이터, 공원, 벤치... 하다 못해 마을의 우물가나 정자나무 그늘 아래 평상과 같은 곳은 중장년의 추억담에나 등장하는 장소가 되었습니다. 

해외에서는 시민자산화, 공유공간자산화 개념이 그리 낯설지 않습니다. 유럽에서는 노동자와 민중이 힘을 합해 민중의집(people's house)를 세우고, 그곳에서 민중 복지와 교육 근거지로 삼은 역사의 전통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예술가들이 버려진 건물을 활용하여 예술을 꽃피우거나, 접근성이 떨어지거나 할렘화된 황폐한 지역을 공유지로 가꾸어 도심의 명소로 만든 사례 등이 존재합니다.

공유공간자산화, 시민자산화라는 개념이 낯설고 사례도 많지 않은 한국에서 '사람과공간' 자체는 작고 아담하지만 비영리단체와 시민사회가 함께 공동체 공간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사익을 추구하기보다 지역공동체와 민주적인 가치를 위해 뜻을 모으는 분들이라면 공간을 마련하고 유지하기 위한 방법을 고민할 것입니다. 공간자산화를 위해 여러 사람이 뜻을 모으는 것 역시 쉽지 않은 일이지만, 그 이후에도 필연적으로 거쳐야 하는 부동산 관련 문제와 세금, 법률적인 문제 등 실무적인 처리에서도 난관은 끝이 없습니다.

사회운동의 공동체공간 자산화, 사람과공간 책 출간은 눈 덮인 산을 홀로 걷는 행인의 마음으로 조심스럽게 내딛는 우리의 발걸음입니다. 비틀거리며 때로는 넘어진 발자국일지라도 뒤에 오는 이들에게 길잡이가 될 수 있습니다. 금번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사회운동의 공동체공간 자산화, 사람과공간 단행본 제작과 출간에 힘을 실어 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5만원 이상 후원하신 분들을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사람과 공간이 준비한 소정의 선물을 드립니다!

 

리워드 구성

[20,000원]
<시민 자산화로 로컬의 거점 공간 만들기> 1권 + 손수건 1장

[50,000원]
<시민 자산화로 로컬의 거점 공간 만들기> 1권 + 손수건 2장 + 기부자의 벽 이름 새김 + 추첨을 통한 소정의 선물

[100,000원]
<시민 자산화로 로컬의 거점 공간 만들기> 2권 + 손수건 2장 + 기부자의 벽 이름 새김 + 추첨을 통한 소정의 선물

 

1. <시민 자산화로 로컬의 거점 공간 만들기> 도서


*본 도서는 제작 과정에서 일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도서명 : 시민자산화로 로컬의 거점공간 만들기_서울도 로컬이다
- 저자 : 나상윤, 사회적협동조합 사람과공간  
- 펴낸곳 : 책너머 
- 쪽수 : 288쪽
- 출간일 : 2023년 3월 6일 (예정) 
- 목차 

추천사
서문
1부 6년의 기록
1. 전사 : 경험과 공감의 시간들
2. 시작 : 추진위 결성과 서울마을센터와의 만남
3. 실행단계로의 도약 : 준비위 전환과 법인 설립
4. 피할 수 없는 과제 : 부동산 매입
5. 또 하나의 난관 : 세금과 리모델링 공사
6. 입주, 우리의 이야기는 끝나지 않았다
7. 새롭게 태어난 우리의 공간에 대하여

2부 함께 한 사람들의 이야기
1. 전희순 강서양천민중의집(사) 이사장
2. 이선영 강서아이쿱소비자생활협동조합 이사장
3. 김숙자 빵과그림책협동조합 이사장
4. 박장현 평등사회노동교육원(사) 원장
5. 한복남 사회적협동조합 강서나눔돌봄센터 센터장
6. 김점숙 달그락에코랩협동조합 이사장
7. 김선혜 동네부엌좋은날협동조합 이사장
8. 유정아 사회적협동조합 사람과공간 전무이사
9. 성지영 서울마을센터 전 공간팀장

3부 국내외 사례
1. 영국 사례
2. 광진의 공유공간 나눔
3. 시흥의 ㈜빌드, 지방자치단체와 협력모델
4. 목포의 건맥1987협동조합, 도시재생을 통한 자산화
5. 서대문의 마을언덕 홍은둥지, 공동체 주택과 공동체 공간의 결합
6. 마포의 해빗투게더협동조합, 둥지 내몰림을 자산화로
7. 대구의 안심마을,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하는공유마을
8. 대전 어은동의 비.스트리트, 청년주도의 안녕마을

4부 간략한 자산화 매뉴얼
1. 자산화, 그게 뭐야?
2. 자산화 관련 정책사업 현황
3. 주체 형성과 계획 수립
4. 우리에게 맞는 법인 선택하기
5. 소요 비용 추산과 복잡한 세금 문제
6. 다양한 자금조달 방안
7. 건물 매입을 위해 알아두면 좋은 몇 가지
8. 리모델링과 공간배치

후기
참고자료

 

2. 사람과 공간 손수건

사람과공간 로고가 들어간 손수건입니다.

 

- 제품명 : 사람과공간 손수건 
- 색상 : 연한 베이지
- 소재 : 면
- 크기 : 30*30(cm)

 

3. 기부자의 벽

5만원 이상 후원 시 기부자의 벽에 이름을 새겨 드립니다.

 

모집 금액 사용 계획

- 편집디자인비(본문, 표지) : 250만원
- 인쇄, 제작비 : 250만원
- 배송비 : 40만원
- 리워드 구입비 : 100만원  
- 펀딩 제수수료 : 60만원

크라우드펀딩 진행 일정

- 펀딩 진행 기간 : 2023. 2. 24 ~ 2023. 3. 26 
- 리워드 배송일 : 2023. 3. 28부터 순차적 택배 배송 (배송 전 연락드리겠습니다) 
- 리워드 배송비 : 무료 배송
※ 단, 제주 및 도서산간지역의 경우 배송비가 발생하며 결제 시 추가 참여 금액에 '3,000원'을 입력해 주세요.

문의처

- 문의 메일 : phcoop@naver.com
- 연락처 : 02-2039-8026 (문의 가능 시간 : 오전 9시 ~ 오후 6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