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옥스테이,해남, WAKA, 숙박,워케이션, 숙소, 도시재생, 지역재생, 빈집재생,에세이, 숫자가 너무 지루해서,숙박권, 여행






 


과연 용기 있는 선택이었을까


결국 퇴사를 결심했을 때는, 단 일분일초도 회계법인을 위해 내 시간과 에너지를 쓰고 싶지 않은 순간이 찾아왔을 때였다. 더 이상 참을 수가 없었다. 조금 솔직해지자면, 나는 도망쳐나왔다.


서울의 좁은 집에서 재택근무를 하는 것이 답답해, 시골집 한달살이를 알아봤다. 깨끗하고, 일하기 편한 환경이면서도 주변이 관광지가 아닌 조용한 곳을 찾았지만 마땅한 곳이 없었다.


10년 간의 성장통은 회계사로서의 나를 만들었지만, 내 마음까지 성숙해진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일에 매몰되어 지내는 동안 힘듦을 잊기 위해 나는 술을 마셨고, 운동을 했고, 반짝이는 물건들을 수 없이 사들였고, 스마트폰 화면만 바라보았다.

 

너는 운명의


해남도, 한옥도 둘 다 내 선택지엔 없는 옵션이었다.
그런데 결국 돌고돌아 해남 한옥을 만났다.

인터넷에 올라와 있는 거의 모든 한옥 매물을 본 것만 같았다. 그러다 밤에 잠들기 전 누워 검색을 하는데 WAKA가 된 이 집이 눈에 들어왔다. 심장이 쿵쾅거렸다.

 

 

짓는다고 해서 일하러 왔더니, 박물관을 만들고 있어.”

한옥은 알면 알수록 신비로운 구조를 가진 건물이었다.

나무 기둥 몇 개가 탄탄하게 얽혀 그 무거운 기와를 지탱해내고 있었다. 바닥으로부터 올라온 습기로 인해 기둥 아래가 다 썩어 있어도 건드리지 않으면 집은 무너지지 않는다.

작업자분들은 건드리지 않으면 괜찮으니 그냥 덮고 가자고도 하셨다.

하지만 이왕 손대는 거 기초부터 제대로 잡고 싶었다. 매일 공사가 마무리되면 밤마다 가서 다음 공정을 위한 공부를 했다.

기초만 제대로 보수하면 그 뒤는 수월할 줄 알았는데, 해남에서 구한 작업자분께 우리가 원하는 컨셉을 이해시키는 것 역시 정말 힘들었다. 리니어하고 심플한 공간을 본 적도 없는 분들에게 그걸 해달라고 하니 서로가 힘들었다.

 

사람들이 좋아해주면 어떡하지

글을 다 써 놓고 세상에 내어 놓기 싫었다던 어느 작가의 말이 떠올랐다.

관광지도 아닌 시골마을에 기존에 없던 새로운 컨셉의, 워케이션 한옥을 내어놓자니 어마어마한 불안감이 엄습해왔다.

나는 예쁘고 좋다고 생각해 세상에 WAKA를 내놨지만, 아무도 관심을 가져주지 않으면 어떻게 하지?

나 이대로 망하는건가?
걱정에 밤잠을 이룰 수가 없었다.

 

 


 

WAKA를 고치는 데 딱 1년이 걸렸습니다.
1년 동안 집만 고친 게 아니라, 저라는 사람도 같이 성장해 왔어요. 

코로나가 시작되면서 자연스레 재택근무를 하면서, 도시를 벗어난 사무공간을 찾게 되었어요.
관광지가 아니면서도 일하기에 편안한 곳을 찾았지만, 딱 맞는 곳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WAKA와 같은 워케이션 공간을

제가 직접 만들기로 결심했습니다. 

 

한옥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
전 한옥의 정의는 한국사람이 사는 집이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생활양식이 달라졌다면, 그에 맞춰 한옥의 모습도 바뀌어 가야 한다고 생각해요. 제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현대와 전통의 만남을 WAKA에서 구현하고 싶었습니다.

앞으로의 세상에서는 사람들이 도시의 오피스라는 공간에서 자유로워지고, 저와 같은 프리워커들이 더 늘어나겠죠?

도시에만 머물러야 하지 않는 삶의 모습들이 늘어난다면, 도시가 아닌 곳에 대안적인 공간들이 생겨나야 수도권 중심의 급격한 발전을 해온 한국사회가 가진 문제들도 하나씩 해결해 갈 수 있다고 생각해요.

그 일이 제가 하고 싶은 것이란 걸 깨달았고, 다가올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 WAKA라는 첫 삽을 떴습니다. 하나의 사업으로서의 WAKA가 사업성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저는 이렇게 대답하고는 합니다.

저는 시골에 머물러보고 싶은 도시 사람들이

보다 쉽게 정주 할 수 있는 따뜻하고 힙한 공간을 만들어 가고 싶어요.

 

WAKA는 스테이 형태로서의 빈집 재생 모델입니다.

이 지역에도 이런 공간을 만들 수 있고,

공간이 생기면 사람들이 찾아온다는 걸 보여주고 싶었어요.”


앞으로의 사업 확장에 대한 마일스톤과 타임라인에 따른 계획은 없지만, 저의 방향성은 명확합니다.

도시사람들이 머무르기 좋은,

머무르고 싶은 공간들을 이 곳에 만들어 가는 것


그렇게 앞으로 해남에서 제가 해야 할 역할을 찾아나가는 중입니다.


 


 

* 에세이책은 전자책(PDF) 형태로 제공됩니다.

 

 

 


한옥 독채 워케이션 WAKA
1979년에 지어진 민가한옥을 리노베이션한 공간입니다.

 


'안한자적', 평화롭고 한가하게 마음 흐르는 대로 어우러질 수 있는 곳

해남의 자연 속에서 친숙한 편리함을 느끼며 일에 집중할 수 있는 곳

넓은 정원에서 비우고 채워내며 영감을 얻을 수 있는 곳

 

WAKA 입니다.

 


WAKA의 독채 한옥은 넓은 서재 겸 다이닝 공간

1개의 침실, 욕실, 200평의 단독 마당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큰 슬라이딩 도어를 열면 나만의 집중도 높은 서재로,

반대로 열면 작은 키친과 쉼의 공간으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존 한옥 구조를 살린 앞뒤의 통창을 열면

해남의 바다를 품은 바람이 고스란히 공간 안으로 스며들어 옵니다.

 


공간 안에 있어도, 눈에는 정원과 마을 전경을 담고

코에는 해남의 자연을 담아 탁 트인 감각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서재에는 HermanMiller의 Sayl Chair를 비치하여
보다 편안한 업무환경을 조성하였습니다.


우리의 허리는 소중하니까요.

 


편하게 기대앉아 책을 읽을 수도 있고,

차 한잔을 즐길 수도 있는 아담한 소파도 비치하였습니다.

 


넓은 책상에서 일하는 걸 선호하신다면

6명이 앉아도 충분할만한 큰 테이블도 준비되어 있어요.

 


욕실은 3-4명이 들어가도 충분한 사이즈의 돌 욕조샤워부스,

세면대와 별도의 화장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한옥에 가장 잘 어울리고 널리 쓰이는 소재인

화강석과 GROHE 수전이 자연스레 어우러진답니다.

 


하루의 시작과 끝을 함께하는 곳이니만큼, 심혈을 기울여 설계한 공간입니다.

 

블라인드를 열고 닫아 프라이빗함개방감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WAKA의 침실에는 2인을 위한 포근한 침구가 마련되어 있어,

자고 일어나 창문을 열고 아침 공기를 마시면 개운하게 잘 잔 느낌이 듭니다.



예약시 선택에 따라 하나로 연결된 King 침대 또는

두 개의 Twin 침대 타입으로 준비 가능합니다.

 


달을 닮은 듯, 해를 닮은 듯.

별도의 빨간 스위치와 연결된 Ingo Maurer의 'Aka_Tsuki' 조명은

침실의 주인공이자, 은은한 수면등이 되어줍니다.


 

오래된 나무들, 해남의 들판에 서식하는 자생식물과 야생화로 구성된

200평의 넓은 정원

 

바쁜 머릿속을 비워내고 여유를 채울 수 있도록 산책을 위한 여백을 두고,

캠핑의자와 평상, 벤치를 놓아 두었습니다.

 

 

 

리워드 구성


WAKA
에서,
해남의 들녘에서,
마을 어귀에서,
바닷가에서!

어디에서 써도 찰떡같이 어울리는 해남을 담은 고구마모자

 


제주도의 감귤모자 처럼 지역 특산품에서 모티브를 얻어서 제작한 해남고구마모자는 해남의 특산품인 고구마를 상징합니다.

보라색에 고구마의 노란 속살을 표현한 노란방울로 모자를 쓰고
해남의 관광지에서 인생샷을 한번 남겨보세요!

 

 

리워드 사용 안내

 

문의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