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다큐멘터리,공교육,교육

프로젝트 소개

① 학교에 관한 다큐멘터리로서 [학교폭력], [과열된 입시경쟁], [교권추락] 3가지 문제에 대해 다룹니다.
- 해당 주제에 대해 다루는 이유는, 위 주제들이 공교육 현장의 가장 대두되는 문제라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② 학교의 내부자인 [학생, 교사, 예비교사(사범대학생), 학부모]가 고백하는 내밀한 이야기를 드러냅니다. - 학교에 장기간 근무하며 학교의 여러가지 문제들이 복합적이고 여러 이해관계가 얽혀있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단순히 피상적으로 보이는 문제에 대해 다루는 것을 넘어, 내부자들이 느끼고 있는 감정과 생각을 다큐에 담고자합니다.

프로젝트의 차별성 : 내부자들이 만드는 다큐멘터리

① [현직 교사, 사범대 재학생, 학교폭행 피해자]가 창작에 참여 한다는 점 - 수년간 학교에 몸담은 현직 교사와 앞으로 교사가 될 예비교사, 학교폭력 피해자가 자료를 조사하고 대본을 제작합니다.  

② 문제에 대해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의 의견을 드러내어 균형 있는 구성을 꽤한다는 점 - 학교의 문제는 여러 이해당사자들의 의견이 복합적으로 얽혀있습니다. 여러가지 관점으로 학교문제를 조명하고자 했습니다.

③ 학교 안 내부자들의 솔직하고 내밀한 이야기를 드러낸다는 점 - 가감없이, 솔직하고 담백한 다큐멘터리를 제작하려 합니다.

기획 의도 :

학교는 선진화 되어 가지만,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습니다. 그것을 꽤 깊이 들여다보려 합니다. - 여러 문제에 대한 학부모의 의견을 들어보고, 교사의 입장을 들어봅니다. 학폭 주제의 경우 학교폭력 피해자가 얼마나 큰 고통을 입었는지 인터뷰를 통해 알아봅니다. 

추진배경 :

「한 고등학생이 중간고사 도중 컨닝을 했고, 교사는 그것을 발견했습니다.학생의 점수는 0점 처리 되었고, 시험이 끝난 후 학생은 스스로 목숨을 끊었습니다.그 후 교감선생님은 교사들에게 시험 도중 부정행위를 모른척하라고 지시합니다.」 인천의 한 학교에서 실제로 일어난 이 사건을 접한 후, 무언가 잘못됐다는 공감 속에서 프로젝트가 시작되었습니다.(해당 사건을 포함한 개별사건에 대해 추적하는 고발성 다큐멘터리는 아닙니다.)우리 학교에 남아있는 문제와 발전적 해결방안을 [현직 교사, 사범대 재학생, 학교폭행 피해자]가 진지한다큐멘터리의 형식을 빌려 풀어냅니다. 

프로젝트의 필요성 :

현 시대 학교가 떠안고 있는 고민을 가감 없이 아카이빙 하고, 우리가 나아갈 할 방향을 모색합니다.

리워드 소개 :

1만원  고화질 영상 원본 파일 제공
2만원 엔딩 크레딧에 이름 게시
3만원 포스터, 작품 브로셔 제공
10만원 감독판 버전 영상 파일 제공
200만원 비하인드 스토리, 에필로그 수록 VOD 디스크 제공
400만원 촬영장 초청 및 관람 기회 제공

 

모집금액 사용계획
후원해주신 소중한 모집금액은
촬영 장비 임차료
영화 사운드 트랙 작곡 및 저작권료
대본료
VOD CD 제작료
출연료
영상 브로셔 제작
기타진행비,
공공요금및세금

으로 사용됩니다.

진행 과정

① 각본 제작
② 영상 제작 참여인(학생, 교사, 예비교사(사범대학생), 학부모 등) 섭외
③ 참여자들과 함께 각본 피드백 및 수정보완 실시
④ 영상 제작
⑤ Youtube를 통한 영상 배포 및 각종 영화제 및 공모전 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