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 전공자 10년 후 생존하는 작가는 100명 중에서 1명 미만으로 이제 막 시작하는 청년작가 절대 다수는 창작으로 생계를 영위할 수 없어요. 극심한 부익부 빈익빈 현상으로 극소수 작가의 작품만이 수십억원까지 거래되지만, 미술작가 62%는 예술 활동을 통한 연간 수입이 200만원도 되지 않아요. 투자가치에 의한 작품 판매 위주 시장으로 상위 1%미만 거래되고 있어요. 10~20년 이상 활동중인 중견작가 조차 창작으로 생계를 해결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주)코아트스튜디오는 보다 많은 예술가들이 지속적으로 창작활동과 자아실현을 할 수 있도록 창작공간을 발굴하고, 창작환경을 조성하는 우리 모두의 예술 플랫폼입니다. 기존 미술시장의 제한된 작품 거래 시스템에서 탈피하여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서는 작은 실험을 해보고자 합니다.
작가들의 작품 라이선스(저작권+이용 허락)을 거래함으로써
작가는 작품을 알릴 수 있고,
크리에이터를 꿈꾸시는 분들은 나만의 굿즈를 제작해보실 수 있어요.
기존 제한된 판매 위주 미술 시장에서 벗어나 작품에 대한 라이선스(저작권+이용 허락)로 일반인 누구나 꿈꾸는 자신만의 예술 세계를 만들어보세요. 작품 라이선스를 통해 누구나 2차 창작할 수 있는 환경으로 새로운 응용 미술 시장을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어요. 삶에서 자신만이 예술 세계를 통해 예술 대중화를 함께 만들어가요.
작가의 작품에 대한 라이선스(저작권+이용 허락)를 활용하여 일상에서 나만의 예술 세계를 만들어감으로써 예술가에게 지속적인 창작을 후원하며, 다양한 응용 창작 콘텐츠를 발굴하고자 합니다. 과거 15~17세기 르네상스를 꽃 피운 이탈리아 피렌체의 메디치 가문처럼 우리나라에서 시민 주도에 의해 누구나 일상에서 예술 세계를 만들어요. 작가의 작품을 응용하여 나만의 예술세계를 꽃 피우고, 작품 라이선스(저작권+이용 허락) 구매로 작가를 후원할 수 있어요.
누구나 예술적-창조적 본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삶이 예술이고, 예술이 일상이 되는 세상을 함께 만들어볼 수 있는 코아트스튜디오의 실험에 동참해주세요.
인간의 예술적-창조적 본능으로 누구나 크리에이터!
누구나 꿈꾸는 예술가 되어보는 시간!
삶이 예술이고, 예술이 삶이 되는 세상!
일상에서 예술에 흠뻑 빠져보세요. 우리 모두 아트버스(artverse)를 타고 가상 세계와 현실 세계를 벗어난 메타버스(metaverse)를 만들어요!
기존의 제한된 작품 거래에서 벗어나 작품 라이선스(저작권+이용 허락)로
누구나 꿈꾸던 자신만의 예술 세계를 만드는 실험에 도전해봐요!
① 마음에 드는 작품을 고르셨나요?
② 펀딩 리워드를 통해 작품의 라이선스(저작권+이용 허락)를 받으세요!
③ 작품의 라이선스(저작권+이용 허락)를 활용해 나만의 예술세계 (예-액자, 휴대폰 배경화면, 달력, 엽서 등 굿즈)를 만들어보세요.
** 펀딩을 통한 라이선스 리워드는 비상업적/개인용으로 편집/창작이 가능합니다.
상업적(영리)으로 편집/창작을 희망하시는 분들은 추후 작가와의 협의 및 계약을 통해 2차적저작물작성권 이용 허락 이후 저작권료 지급 후 이용이 가능합니다.
* 개인적(비상업적)으로 활용 시 자유롭게 편집, 창작이 가능합니다.
* 상업적(영리)으로 활용 시 작가와의 협의 및 계약을 통해 편집, 창작이 가능합니다.
※ 2차적저작물작성권: 원저작물을 번역/편곡/변형/각색/영상제작 및 그 밖의 방법으로 제작한 창작물을 말한다. 예컨대, 영어로 된 책을 한국어로 번역하거나 소설을 영화한 것이 대표적인 2차적저작물에 해당한다.
< 작품 활용 사례 >
휴대폰 배경화면으로도, 출력하여 방안에 액자로, 벽지, 카펫, 앞치마 등 디자인을 적용하여 주문제작 가능한 모든 제품에 활용해보세요!
01. 서정균 아티스트
올해 코로나19로 인하여 많은 예술활동이 힘든 시기가 찾아왔다. 나도 마찬가지로 캐리커처 회사 소속에서 벗어나, ‘라이브 캐리커처 작가’로 홀로서기를 시작 중이었지만, 코로나19로 인하여 활동 자체가 어려워졌다. 대면의 방식으로 즉석에서 그리는 '라이브 캐리커처'의 활동을 할 수 없다는 상실감은 매우 컸다. 전혀 예상하지도 못했던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봄 즈음 되면 끝나겠지 했던, 코로나19는 4월이 다가왔음에도 나아지지 않았다. 어쩔 수 없이 집에 칩거하는 시간이 늘어날 수밖에 없었고, 활동이 잦아지니 스스로 우울한 시간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주변도 마찬가지였다. 동료 캐리커처 작가들도 활동을 중단하거나, 저조한 수익으로 매우 우울한 상황이 지속되었다. 서로 대화를 해봐야 우울하고 짜증내는 상황이 이어지다 보니, 혼자 있는 시간이 지속되었다. 코로나19와 일선에서 맞서 싸우는 의료진들의 기사를 통해 힘든 시기에도 땀 흘려 일하는 모습에서 감명받았다, 그들이 우리에게 던지는 메시지는 고난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말라는 메시지였다. 문득 나도 그들처럼 희망을 주는 메시지를 사람들에게 나눠주고 싶어졌다.
마카와 펜을 들기 시작하였다. 결국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그림이었고, 현재 '2020년, 코로나19로 인하여 예상치 못한 상황에 놓인 우리 모습들'을, 엽서에 그림을 통해 ‘희망과 공감' 메세지를 전달하고 싶었다. '엽서 일러스트', 그것이 내가 하는 작업이다. ‘코로나19’로 인하여 힘들어하는 우리 이웃들과 나의 주변 동료들에게, 조금이나마 작은 공감과 웃음, 그리고 희망과 용기의 메세지를 이 '엽서 일러스트'로 주고 싶다.
- 작가 인스타그램: Instagram.com/ssen1202
서정균 작가
1. Speed
2. Ssen
3. Sexy back
4. 밖에 나가구 싶당
5. 사과 먹는 아기
02. 김동진 아티스트
저는 미술치료사로서 일하면서 많은 사람이 가족 관계 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저는 제 가족 구성원과의 인터뷰 내용을 기반으로 가족 간의 일련의 변화과정을 기록하고 다양한 매체로 표현합니다. 저는 인터뷰를 통해 가족의 위계질서와 가족 구성원의 상호작용 방식을 파악합니다. 이때 저는 가족 하위체계의 특정한 상호 작용 방식(兄-母, 母-父 등)에 접근합니다. 저는 구성원들의 의사소통으로부터 수집된 상징(인생의 주제, 가치, 의미 있는 가족 사건 등)들을 작업의 소재로 선택합니다.
하나의 작업이 끝나면 저는 구성원의 관계 문제를 반영하는 일련의 가족사건과 이야기의 맥락을 연결시키고 연결된 이야기를 기반으로 다음 인터뷰를 이어갑니다. 연결된 맥락 속에는 가족의 역기능적인 상호작용체계, 즉 가족 문제의 '증상'이 담겨 있습니다. 구성원 서로가 '증상'을 인식하고 새롭게 정의하는 과정은 ‘의미를 부여하는 과정’, 즉 '재구조화'입니다. 저는 '증상'의 의미를 새롭게 부여하는 과정이 가족 체계에 변화를 이끄는 적극적인 행동이라 생각합니다.
우리 가족은 변화를 겪으면서 ‘어떤 가족’을 향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가족은 어떠한가요?
작가 인스타그램: Instagram.com//tomato_aaab
김동진 작가
1. Mayday
2. Autumn Flower
3. THINKMMOM
4. 달집태우기
5. Night garden
6. 망각
7. Fish in the pond 01
8. Mom's Forest
9. Bowen’s Triangles 01
10. Bowen’s Triangles 02
11. september
12. dog shadow
13. 마음
14. Beautiful violence
15. Forest of distance
* 펀딩 참여 시, 원하시는 작가의 작품번호/이름을 옵션 칸에서 선택 또는 입력해주세요. 예) 김동진 작가 11. september
** <꼭 읽어주세요!> **
✅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모집된 금액은 예술 작가들의 지속적인 창작활동 지원을 위해 해당 참여 작가에게 제공됩니다.
✅ 리워드(작품 라이선스)는 펀딩 마감 10일 후 응용 창작 가능하도록 고화질 파일 형태로 이메일로 제공됩니다.
✅ 리워드(작품 라이선스)의 편집 가능기한은 ~2022년 10월 31일까지입니다. 다만, 라이선스 사용 기간 중에 제작한 것은 라이선스 종료 이후에도 편집 없는 한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요.
✅ 저작자의 인격을 침해하지 않은 범위에서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에서 다양하게 편집할 수 있어요.
✅ 상업적 판매 목적으로 리워드로 제공되는 작품을 2차 창작 혹은 편집하고자 하면, 코아트스튜디오(작가)와 라이선스 관련 협의와 계약을 반드시 진행해야 합니다.
✅ 제공 받으신 리워드를 어떻게 활용해야할 지 고민이신 후원자분들께는 굿즈 제작 기획, 디자인 등 전문가의 지원을 통해 아이디어를 현실로 만드실 수 있도록 코아트스튜디오에서 도움을 드려요. (최소한의 실비 별도 발생)
관심 있으신 분들은 아래 문의 연락처로 연락 바랍니다.
[문의]
이메일 skpark500@naver.com
전화번호 070-4942-4929
청년예술가의 창작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창작공간을 발굴하며, 예술활동을 통한 예술가의 수익창출을 통해 지속 가능한 창작환경을 조성합니다.
예술공동체, 함께하는 예술로 코아트(COART)의 존재 이유입니다. 세상을 더 풍요롭게 따뜻하게 만드는 우리 모두의 예술 플랫폼, 예술가의 지속적인 창작활동을 도와 그들의 자아실현을 돕고 누구나 함께 할 수 있는 예술로 개인과 사회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코아트 웹사이트: Instagram.com/coartstudio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