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문화예술,NFT,사회적경제기업,협동조합

저는 화가입니다

발달장애인 중에는 그림에 재능이 있어 화가로 활동 중인 분들이 점점 늘고 있어요. 이들은 자신을 화가라고 소개할 때 자부심을 느끼며, 화가로서 자립을 하기 위해 매일 작품활동을 하며 하루를 보내고 있어요. 장담컨대, 이들의 열정과 노력은 그 어떤 화가와 비교해도 부족하지 않을 거예요.

발달장애화가 최원우

                                                                  

장애인이 그리면 얼마나 잘 그리겠어요

20여 년 전 그림을 처음 시작할 때 주위 사람들이 했던 말이에요. 장애를 갖고 있지만 자신이 좋아하고 잘 할 수 있는 일을 하면서 살 수 있다면 행복한 삶이라고 생각해서 그림을 포기하지 않았어요.

그리고 20여 년 동안 수 차례 개인전도 열고, 수 십 번 단체전에도 참여하고, 다수의 공모전에서 수상도 하며 화가로서의 경력을 쌓아갔습니다.

그런데 지금도 ‘장애인치곤 잘 그렸네’라고 말을 듣고 있어요. 화가는 작품을 판매해야 생계도 유지하고 작품활동도 할 수 있는데... 장애인에 대한 편견의 벽을 넘기가 쉽지 않습니다.

 

 

NFT로 장애화가의 원작을

시민들과 공유하자

장애화가의 작품을 소정의 금액을 지불하고 많은 시민들이 공유한다면, 취업은 어렵지만 화가로서 생계도 유지하고, 작업 활동을 지속할 수 있어요. 또한 시민들은 다양한 문화를 즐길 수 있고, 작품을 감상하면서 장애에 대한 편견도 줄 일 수 있어 우리가 사는 사회가 좀 더 따뜻해질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그리고 NFT 기술이 원작을 다수의 시민들에게 빠르게 공유하는 데 매우 적합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취업도 어려운데,

최저임금법 대상에서 제외될 수도 있어요

발달장애인들의 고용률은 23%로 우리나라 전체 고용률 대비 약 37% 밖에 안되고,  최저임금법의 적용대상에서 제외될 수도 있어요. 결국 발달장애인은 어렵게 취업을 하더라도 최저임금을 받지 못할 수도 있어요.

 

🔴 빨간 스티커를 붙여 주세요 Attach a RedDot

갤러리에서 판매된 작품에는 레드닷(빨간점) 스티커가 붙어요.                       

화가에게 레드닷은 화가로서 인정을 받았다는 것과 노력에 대한 격려를 의미해요. 또한 생계도 유지하고 작품활동도 지속할 수 있다는 의미기도 하고요.

본 프로젝트는 장애에 대한 편견 속에서 화가로서 자립하겠다는 꿈을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노력해온 발달장애화가를 응원하고 자립을 지원하는 것이에요. 

여러분의 참여로 마련된 기금은 발달장애화가의 작품구매에 사용될 예정이며, 참여하신 분들께는 NFT작품을 감사리워드로 드립니다.

 

감사 리워드 ‘NFT작품소개

이번 크라우드펀딩에 참여해주시는 분들께는 감사 리워드로 박태현 화가의 『앤디워홀』과 박성연 화가의 『러브스토리』 작품을 NFT로 발행해드립니다.

감사 리워드를 출력하셔서 이렇게 꾸며보아도 좋아요!

■ 참고로 리워드로 받으신 NFT작품은 저작권법에 저작권자의 동의없이 상업적으로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NFT가 생소하신 분들은 보세요
NFT는 온라인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디지털 파일의 원본, 소유권, 저작권 등을 증명·기록해주는 기술이에요. 이펀 펀딩에 참여하시고, NFT 작품을 받으려면 『카카오 Klip(디지털지갑)』 이 있어야 하는데요. 만드는 방법을 아래와 같습니다.

 

Klip디지털지갑 만드는 방법
1단계 카카오톡 접속
2단계
우측하단 ‘더보기 메뉴 【...】 클릭
3단계
【전체서비스】 클릭 후 【클립】 선택
4단계 클립 가입

* 생성된 디지털지갑은 리워드 수령 정보의 "NFT지갑주소"란에서 QR 코드 인증 후 결제를 완료해주세요.

* 선물 받은 NFT는 카카오 Klip으로 마이템즈에 로그인을 하시면 확인 가능합니다.

 

 

위마켓웰페어 사회적협동조합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