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안 곳곳에 다양한 잡동사니가 쌓였다.
집주인 ㄱ씨(70)의 눈에는 어디엔가 쓸 데가 있어 보이는 물건들이었다. 그러나 다른 사람들의 눈에는 쓰레기일 뿐이었다. 특히 더운 여름철을 지내면서 더욱 심해진 악취 때문에 주변 이웃들에게까지 민폐가 커졌다.
여러 차례 구청과 주민센터 공무원들이 쓰레기를 치우자고 설득했지만 소용이 없었다. 저장강박증상을 보이는 전형적인 모습이었다.
그래도 다행히 설득이 먹혔다.
6년 넘게 모여 무게만 해도 5톤이 넘는 쓰레기들은 8월에야 말끔히 치워졌다. 관내 유관기관이 협조해 도배와 소독도 실시됐다. 깨끗해진 집을 앞으로도 관리할 수 있게 정리 및 수납 방안을 알려주고 ㄱ씨와 식구들의 심리치료도 도울 계획이다.
이 ‘쓰레기집’의 주거환경 개선에 나선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관계자는 “구청 통합사례관리사가 헌신적으로 노력한 덕분에 겨우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었다”고 말했다. (주간경향 2022.02.14 기사내용 발취)
충격! 이런 일이! 5t 쓰레기더미 속에 사는 사람이 있다?
우리는 잡동사니와 생활쓰레기를 쌓아 두고 사는 집을 ‘특이한 사람의 기이한 행동’으로 다뤄 왔다. 신기한 사연을 소개하는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해 시청자들의 놀라움을 자아내는 괴짜 노인의 일 정도로 취급했다.
그러나 쓰레기집은 특정 세대나 괴상한 소수에게만 일어나는 현상이 아니다. 우울증·무기력증·외로움 등 심리적으로 아픔을 겪는 누구나 마주할 수 있는 일이다.
코로나19로 본격적인 비대면 소통시대에 진입한 상황에서 쓰레기집은 점점 늘어날 수밖에 없다. 외면과 무관심이 능사가 아니란 얘기다. (서울신문2021-10-12 발취)
이제 우리가 해야할 일입니다.
쓰레기집을 방치할 경우 정신건강이 악화할 가능성이 크다. 우울증이 저장강박으로 발전하면서 쓰레기를 쌓아 두는 사람도 봤고 저장강박 때문에 조현병이 악화한 환자도 봤다.
자신과 지역사회 모두가 큰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쓰레기집을 발굴하는 것은 한 사람을 사회 밖으로 끄집어내 한 사람의 인생을 구할 뿐만 아니라, 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미리 방지하는 통로가 된다.
누구나 어린 시절부터 소중하게 간직해 온 것들이 있다. 오래된 책이나 편지, 이전에 구입한 펜.. 어떤 분들은 관심 있는 물건을 모으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것을 넘어 버리지 못하는 것들이 문제가 되는 경우도 있다.
그때부터 병이 생겼어요.
짐이 없었으면 벌써 자살을 했을 겁니다.
자식을 버린 죄책감은 당해본 사람만이 알아요.
아무한테도 말 못하고요.
시어머님께서 저한테하신 말씀이 금싸래기같은 자식 두고 못 나간다고 하셔서 오기로 나왔는지도 몰라요.
여러분들의 소중한 기부금 이렇게 사용됩니다.
ㄱ) 사업비 쓰레기집 청소 7,700,000원
ㄴ) 사업비 심리상담비 1,000,000원
ㄷ) 사업비 이웃일촌맷기 1,000,000원
총 집행 금액 9,700,000원 (목표금액 9,700,000원)
사업기간 2022. 05. 01 ~ 2022. 11. 31
사업대상 소외계층 및 저장강박증상 주민
대상 수 7명
사업내용 저장강박증으로 쓰레기집에 사시는 소외된 이웃을 발굴하여 5월부터 매월 1명씩 집중케어를 실시합니다.
먼저 각 유관기관과 상의 후 심리상담을 통해 상태를 점검하고 이어서 쓰레기집 청소를 진행 합니다.
* 소외계층 및 저장 강박증상 주민의 주거환경 개선과 안정적 유지
* 사각지대에 놓인 주민 발굴 과 강박증상 주민 등 돌봄 네트워크 체계
구축효과
* 수혜자로부터 사회의 진출 할 수 있도록 함으로 지역사회
경제 활성화에 도움
비영리법인 "한국친환경홈케어사회적협동조합"의 대표 브랜드로써 이웃과 함께 높이 날고 싶다라는 슬로건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신체적, 정신적,경제적, 심리적 어려움을 격고 있는 우리 주변의 소외된 이웃을 발굴하여 식량과, 주거문화 개선을 지원하고, 지속 가능한 일자리 및 창업의 기회를 부여함으로 함께 행복한 사회를 만들어가고자 하는 공동체입니다.
전국 6개 사회경제기업들과 사회공헌 돌봄 협약체를 구성하여 소외계층에게 도시락(냉동, 즉석)과 주거문화개선인 쓰레기집 청소 등 제공하고 있습니다.
1. 후원하신 리워드 구매비용은 100% 기부영수증을 발행 해 드립니다.
(국세청 지정기부금단체 등록 된 비영리 법인입니다.)
2. 사용한 리원드는 소식란 또는 kscoop.or.kr에 전하겠습니다.
3. 기타 사용처나 방법에 대하여 궁금하신 사항은 kheyungsoo@gmail.com 으로 문의하시면 바로 답변을 해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