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592년 8월 29일 장림포해전 6척 격침, 서평호해전 9척 격침, 초량목해전 4척 격침 2) 1592년 9월 1일 화준구미해전 5척 격침, 다대포해전 8척 격침, 절영도해전 2척 격침, 부산포해전 100척 격침. (출처:이순신, 김산화화백, 한울출판)
※ 이순신 (1545 ~ 1598) (출처 : 아산 현충사, 충무공이순신기념관)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사학자·언론인.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 등에서 활약하며 내외의 민족 영웅전과 역사 논문을 발표하여 민족의식 고취에 힘썼다. '역사라는 것은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이다.'라는 명제를 내걸어 민족사관을 수립, 한국 근대사학의 기초를 확립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 가덕도(천성, 가덕도신공항 자리) → 장림포(부산 사하구) → 절영도(부산 영도)
- 몰운대(몰운대유원지) → 화준구미(다대포항) → 다대포 → 서평포(부산 감천항) → 초량목(부산 영도대교근처)
- 초량목(부산 영도대교근처) → 부산포(부산진지성, 자성대근처)
(그림 출처 : '그러나 이순신이 있었다', 김태훈지음, 일상이상출판)
'내가 저 수백 년 동안 내내 백성의 기상을 눌러 꺾으며 백성의 앎을 가로막고 문약사상(文弱思想)을 심어주기만 하던 비열한 정객(政客)들의 남긴 독을 돌이켜 생각하면 한(恨)이 바닷물과도 같이 깊은 것이다. 이에 이순신전을 지어 고통에 빠진 우리 국민에게 내보내노니, 무릇 우리의 선남신녀(善男信女)들은 이를 본받으며 이 길을 걸어 나가 가시밭길을 밟아 다지고 고해난관(苦海難關)을 뛰어 넘을지어다. 하늘이 20세기의 태평양을 내려다 보고 제 2의 이순신을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 (이순신전 중에서)
- 도서 앞면
- 도서 뒷면
- 목 차
: 임진왜란 첫해 부산 주요 전적지 주요인물 위주로 기록
(표지인물 왼쪽부터 충장공정발, 충렬공송상현, 충무공이순신.)
- 목 차
⭕ 펀딩 성공시에 행사가 진행되며 선정된 분은 홈페이지에 남기고 휴대폰으로 전달.
행사1) 부산대첩 주요 전적지 인증사진 및 후기 남기기.(커피쿠폰 5000원, 10개)
행사2) 이순신전 독후감 공모 (스타벅스 e-Gift 카드 2만원권,5개)
행사3) 이순신동상 건립 최적 추천지 찾기 (스타벅스 e-Gift 카드 5만원권,1개)
참여자에 따라 행사규모가 확대 적용될 수도 있습니다.
※ 펀딩에 참여한 분에 한해 이순신 부산 프로젝트 참가권이 제공됨.
- 한산도에서의 전투모습을 그린 양해전도.
- 이순신의 장검 : 1594년 4월 한산도 진중에 있을때 만든 칼로서 칼날에 친필 글씨가 새겨져 있음.
- 백의종군길
- 부산진성 순절도
- 동래읍성 순절도
4년전 중국 집안시에 있는 광개토태왕릉비와 환도산성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특히 비문에 새겨진 글귀중에 가장 가슴에 와 닿는 내용이며 고구려 역사에 관심이 많아 도메인중에 한글 '고구려'도 있습니다. 개설자에 대해 좀 더 알고 싶으시면 아래 블로그를 참조바랍니다.
- 행사1,3 인증 및 최적지 접수 기간 : 2022년 2월 1일 ~ 2022년 3월 13일까지
:블로그에서 접수(http://blog.naver.com/rokoys888)
: 독후감 접수 방법 : rokoys888@naver.com 보내주시고, 제목은 [이순신전 독후감 공모] 추가 기재바라며 간단한 인적사항(나이,성명, 거주지역)도 본문에 기재 바랍니다.
1) 취지 : 분단의 아픔
2) 설립배경 :통일 공감대
3) 역사적 배경 : 광개토태왕비에서
4) 미션 : 단재신채호 조선상고사에서
5) 가치와 사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