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전,충무공이순신,독후감공모,부산대첩,임인년부산프로젝트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윈스턴 처칠)

'영토를 잃은 민족은 재생할 수 있어도 역사를 잃은 민족은 재생할 수 없다.' (단재 신채호)

 

1. 크라우드펀딩 준비 배경

- 2022년 임인년은 임진왜란이 일어난 지 430주년이 되는 해로써 부산에 널리 알려진 정발 부산진첨절제사, 송상현 동래부사의 순국 충절에 비해 이순신 전라좌도수군절도사의 부산포해전 승전보에 덜 알려져 있어 이번 프로젝트로 잊고 있었던 부산에서의 승리의 역사를 알리기 위함.

 

'올해 음력 9월1일이 부산포해전 430주년이 되는 날로 패배만 남겼던 임진왜란의 4월, 충신 정발과 송상현은 목숨으로 적의 길을 막았지만 9월은 이순신이 부산대첩으로 적선 134채를 바다로 침몰시킨 의미있은 해로써 이순신 본인도 장계에 임진년 가장 큰 승리라고 했는데 한산대첩만큼 대접을 못받고 있네요.'

 

1) 1592년 8월 29일 장림포해전 6척 격침, 서평호해전 9척 격침, 초량목해전 4척 격침 2) 1592년 9월 1일 화준구미해전 5척 격침, 다대포해전 8척 격침, 절영도해전 2척 격침, 부산포해전 100척 격침. (출처:이순신, 김산화화백, 한울출판)

 

※ 이순신 (1545 ~ 1598)  (출처 : 아산 현충사, 충무공이순신기념관)

      

2. 크라우드펀딩 리워드

 

110여년전 단재신채호가 민족성을 고취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젊은 나이(만 28세)에 대한매일신보에 게재한 '이순신전'을 책으로 복간하여 펀딩을 추진합니다.

※ 단재 신채호 (1880 ~ 1936)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사학자·언론인.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 등에서 활약하며 내외의 민족 영웅전과 역사 논문을 발표하여 민족의식 고취에 힘썼다. '역사라는 것은 아()와 비아()의 투쟁이다.'라는 명제를 내걸어 민족사관을 수립, 한국 근대사학의 기초를 확립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 단재 신채호선생께서 1908년 5월 12일부터 1908년 8월 18일까지 대한매일신보에 연재했던 소설을 책으로 발간.
- 당시 구한말 일제에 의해 국권이 위태로운 지경에 처했을 때 우리 민족의 민족의식을 고취하여 궁극적으로 국권을 회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저술한 것임.
- 본 도서에 함께 실린 사진은 대부분 아산 현충사에 있는 ‘충무공이순신기념관’에서 찍은 것임.

 

※ 임진왜란 주요 전적지 (임진년 첫해(1592년) 승전지역)

임진년 4차례 출동 지역

임진년 제4차 출동기간중 부산지역 (1592년 8월29일 ~ 9월1일(음력))

- 가덕도(천성, 가덕도신공항 자리) → 장림포(부산 사하구) → 절영도(부산 영도)

- 몰운대(몰운대유원지) → 화준구미(다대포항) → 다대포 → 서평포(부산 감천항) → 초량목(부산 영도대교근처)

- 초량목(부산 영도대교근처) → 부산포(부산진지성, 자성대근처)

(그림 출처 : '그러나 이순신이 있었다', 김태훈지음, 일상이상출판)

 

3. '이순신전 & 임인년 부산 프로젝트' 소개

 

이번 펀딩 참여자는 2종류의 도서 합본으로 제공합니다.

합본도서 크기 : 신국판 (148 * 225mm), 100+26페이지, 흑백.

 

1-1) '이순신전' 도서 크기 : 신국판 (148 * 225mm), 100페이지

 

'내가 저 수백 년 동안 내내 백성의 기상을 눌러 꺾으며 백성의 앎을 가로막고 문약사상(文弱思想)을 심어주기만 하던 비열한 정객(政客)들의 남긴 독을 돌이켜 생각하면 한(恨)이 바닷물과도 같이 깊은 것이다. 이에 이순신전을 지어 고통에 빠진 우리 국민에게 내보내노니, 무릇 우리의 선남신녀(善男信女)들은 이를 본받으며 이 길을 걸어 나가 가시밭길을 밟아 다지고 고해난관(苦海難關)을 뛰어 넘을지어다. 하늘이 20세기의 태평양을 내려다 보고 제 2의 이순신을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 (이순신전 중에서)

 - 도서 앞면

 - 도서 뒷면

- 목 차

 

1-2) '부산 프로젝트' 도서 크기 : 신국판 (148 * 225mm), 26페이지

 

      

     : 임진왜란 첫해 부산 주요 전적지 주요인물 위주로 기록  

    (표지인물 왼쪽부터 충장공정발, 충렬공송상현, 충무공이순신.)

- 목 차

 

  

2) 이순신 부산 프로젝트 주요 행사

⭕ 펀딩 성공시에 행사가 진행되며 선정된 분은 홈페이지에 남기고 휴대폰으로 전달. 

  행사1) 부산대첩 주요 전적지 인증사진 및 후기 남기기.(커피쿠폰 5000원, 10개)

  행사2) 이순신전 독후감 공모 (스타벅스 e-Gift 카드 2만원권,5개)

  행사3) 이순신동상 건립 최적 추천지 찾기 (스타벅스 e-Gift 카드 5만원권,1개)

 참여자에 따라 행사규모가 확대 적용될 수도 있습니다.

이번 펀딩 참여자는 위 2종류의 도서 합본으로 제공합니다.

합본도서 크기 : 신국판 (148 * 225mm), 100+26페이지, 흑백.

 

 

3) 리워드 안내

 

  1. 이순신전 도서 1권 (정가 10,000원) + 배송비 포함

  2. 이순신전 도서 2권 (정가 10% 혜택, 18,000원) + 배송비포함

  3. 이순신전 도서 5권 (정가 20% 혜택, 40,000원) + 배송비포함

  4. 이순신전 도서 10권 (정가 30% 혜택, 70,000원) + 배송비포함

  5. 이순신전 도서 20권 (정가 40% 혜택, 120,000원) + 배송비포함

  ※ 펀딩에 참여한 분에 한해 이순신 부산 프로젝트 참가권이 제공됨.

 

4. 이순신전 관련 자료 

'이순신전'을 집필했던 단재신채호선생의 나이가 20대후반으로 지금의 MZ세대, 2030세대입니다. 충무공 이순신에 대해서는 충남 아산 현충사와 광화문 이순신 동상등 여러 지역에서 전시관을 만날 수 있습니다.

 

- 한산도에서의 전투모습을 그린 양해전도.

- 이순신의 장검 : 1594년 4월 한산도 진중에 있을때 만든 칼로서 칼날에 친필 글씨가 새겨져 있음.

- 백의종군길

'임인년 부산 프로젝트'관련 자료

- 부산진성 순절도

- 동래읍성 순절도

 

5. 개설자 소개

4년전 중국 집안시에 있는 광개토태왕릉비와 환도산성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특히 비문에 새겨진 글귀중에 가장 가슴에 와 닿는 내용이며 고구려 역사에 관심이 많아 도메인중에 한글 '고구려'도 있습니다. 개설자에 대해 좀 더 알고 싶으시면 아래 블로그를 참조바랍니다.

 http://www.고구려.kr 

 

6. 프로젝트 일정

 - 크라우드 펀딩 시작 : 2022년 2월 10일.

 - 크라우드 펀딩 종료 : 2022년 3월 5일.

 - 행사1,3 인증 및 최적지 접수 기간 : 2022년 2월 1일 ~ 2022년 3월 13일까지

    :블로그에서 접수(http://blog.naver.com/rokoys888)

 

- 행사2 독후감 접수 기간 : 2022년 2월 10일 ~ 2022년 3월 13일.

   : 독후감 접수 방법 : rokoys888@naver.com 보내주시고, 제목은 [이순신전 독후감 공모] 추가 기재바라며  간단한 인적사항(나이,성명, 거주지역)도 본문에 기재 바랍니다.

 - 행사1,2,3 시상일정 : 4월중 예정이며 일정이 정해지면 추후 연락드립니다. (휴대폰,SNS)

 - 시상내역은 펀딩 참여자수에 따라 확대 변동 될 수 있습니다. 

     

 

7. 청년광개토 소개

 

1) 취지 : 분단의 아픔

2) 설립배경 :통일 공감대 

3) 역사적 배경 : 광개토태왕비에서

4) 미션 : 단재신채호 조선상고사에서

5) 가치와 사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