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기후위기,다회용기,렌탈세척,대구경북

이러다 다 죽어!

2018년 유엔 기구는 2040년 지구 온도 1.5도 상승 예상

그러나, 최근 2030년까지 1.5도 상승 분석


# 심화되는 기후위기와 필(必) 환경 시대의 도래

지구의 표면 온도가 빠르게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국제정세는 필 환경 시대의 도래를 인지하고 탄소 저감을 위해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역시 2050년까지 탄소중립 목표를 선언한 바 있습니다. 

심화되는 기후위기에 우리가 할 수 있는 해결방안이 무엇일까요?


# 지속가능한 환경을 위한 제로웨이스트 카페 그린그루브

2020년 11월 대구지역 카페·베이커리 분야 사회적경제조직체들의 협업기반을 조성하기 위하여, 4개의 사회적경제 주체가 컨소시엄을 결성하여 만든 새로운 브랜드가 제로웨이스트 카페 그린그루브입니다.  

그린그루브는 지속가능한 환경을 위해 제로웨이스트를 추구하고, 고객에게 보다 건강한 제품을 제공합니다.

 

# 쓰레기의 최소화! 

2021년 4개의 사회적경제조직은 소셜그루브협동조합을 만들었고, 현재 그린그루브 테스트매장과 자활사업단과 가맹 계약을 맺어 경북대 북문과 성서 우체국 내 입점되어 있습니다. 

환경을 위해 재활용이 가능한 종이컵과 종이빨대, 열대우림을 보호하는 친환경 원두 레인포레스트 인증을 받은 원두를 사용하는 등 환경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코로나19 시대, 늘어나는 일회용 쓰레기

코로나19 시대를 대면하며, 2020년 상반기 기준, 생활폐기물이 5,349t으로 지난해보다 11.2% 증가했습니다. 코로나19 시대 이후, 커피전문점 등에서 일회용컵 사용이 늘어나면서 일회용쓰레기 반입량이 증가한 것입니다. 

카페를 운영하는 저희에게 일회용 쓰레기는 항상 고민거리였습니다.
일회용쓰레기 절감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테이크아웃 고객이나 일회용컵을 원하는 고객이 점점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일회용 쓰레기를 절감 할 수 있을까?

 

한 해 사용하는 일회용 컵 61억 개.

매년 60억 개 소각 및 매립

# 테이크아웃 고객에게도 다회용컵을 제공하면 어떨까?

매장 내 고객이 아니더라도 다회용컵을 제공하면 되는거 아니야?
우리의 결론은 이것이었습니다.

그래서 탄생한 것이 다회용기 대여 및 세척서비스 레빗 (REBIT: Reusable Habit) 입니다. 


# 함께하는 재사용 습관, 깡총 함께 넘는 기후위기 !

물건을 버리는 것보다 재활용하는 방향이 좋지만, 회수 세척 가공의 재활용 과정에서 많은 물과 에너지, 노동력이 투입됩니다. 예를 들어 빈병 보증금이 붙은 맥주 소주병은 병을 부수고 깨서 유리병을 만드는 공정 없이, 세척 및 소독해서 재사용합니다.

공병 뿐만 아니라 커피도, 이제 레빗과 함께 재사용을 시작하세요. 

# 레빗은 이렇게 사용합니다.

1. 레빗 입점 카페에서 일회용컵 대신 레빗컵을 사용합니다.

2. 음료를 맛있게 드시고 회수대에 컵을 회수해줍니다.

3. 내가 회수한 컵으로 탄소저감이 얼마나 실현됐는지, 눈으로 확인합니다.

이처럼 쉽고 간단한 방법으로 진행되는 레빗시스템. 고객님들은 이용만 해주시면 됩니다!

 


환경보호라는 목적에 공감하며, 함께하고 싶어요.

하지만 레빗컵, 위생적으로 믿을 수 있는걸까요?

# 6단계를 걸친 안전한 세척시스템!

레빗은 철저한 6단계 세척시스템을 걸쳐 보다 안전하고 위생적이게 고객께 레빗컵을 제공해드립니다.

5단계의 걸친 살균세척과 마지막으로 전용 밀폐용기에 보관 및 배송을 하기 때문에 일반 카페 내에 비치되어 있는 일회용컵 보다 훨씬 더 위생적임을 알 수 있습니다. 

 


레빗, 그것이 알고싶다!

Q. 향후 레빗의 방향성은 무엇인가요?

A. 레빗은 현재 공공기관 내 입점되어 있는 소셜카페 빅핸즈 한국지능정보사회 점, 가스공사 점에 테스트 입점을 할 예정입니다. 
향후 국내 축제, 장례식장 등 일회용쓰레기가 많이 나오는 행사장에 다회용컵 뿐만 아니라 도시락통, 젓가락 등을 납품하여 일회용 쓰레기를 절감하고, 탄소를 저감하고 지역사회 내 인식개선을 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Q. 다회용컵(레빗컵)도 결국엔 플라스틱 아닌가요?

A. 맞습니다. 그러나 2019년 그린피스 플라스틱 보고서를 살펴보면 플라스틱 제로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무조건적인 사용억제보다는 이미 생산되고 사용된 플라스틱을 재사용하여 순환하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Q. 레빗컵은 위생상 안전한가요?

A. 300회 이상 사용가능하며, 재활용성 및 내열성이 높은 재질인 BPA FERR로 만들어진 컵이라 위생은 물론이거니와 향후 재활용까지 생각한 안전한 컵이라고 자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