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방,청년,예술,문화, 공생,같이의가치

안녕하세요. 공유 공방 "공생"을 기획 중인 청년 세명입니다.

저희 “공생”은 공유 공방을 개설하여 신진작가분들에게 미술작품 전시공간작업공간을 공유함으로써 미술작품 전시공간, 작업공간이 부족하다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합니다.

전시회를 기획하고 고충을 몸소 느끼며 사회문제를 인식하고 문제 해결을 해보자 머리를 맞댄 결과 평소 단편 시와 그림을 취미로 그리고 쓰던 저희는 우연히 전시회를 가게 되었습니다. 비록 갤러리에서 진행 한 전시회는 아니였지만, 서울소재에 복합문화공간에서 작가혼자 1인 전시를 하는 전시회 였습니다.

# 1인 전시회 당시 사진


전시를 관람하는 도중 작가님께서 작품에 대한 설명을 해주셨고, 저희는 자연스레 작가님께 작가로써 고충에 대한 질문을 하였습니다.
작가님께서는 미대를 졸업하시고 회사를 다니던 중, 상업적인 예술활동이 아닌

자신만의 창작욕을 분출하고 싶어, 다니던 회사를 퇴사하시고 작품활동을 하여

처음으로 공간을 대여하여 전시를 진행한 것이라 하였습니다.
애로사항에 대한 질문을 하니, 다섯 평 남짓 한 공간을 대여하는데 공간 대여료와, 상업적인 활동이 아니다 보니 본인의 생활함에 있어 윤택하지 못한 것과,

편히 작업할 수 있는 공간에 부재에 대한 이야기를 해주었습니다.
여러 고충이 있으면서도, 전시회를 다녀온 저희는 자신의 꿈에 노력하는 모습을 보고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왔습니다.

저희는 누가 먼저랄 것 없이 우리도 전시를 기획하고 전시를 해보자! 라는 의견이 나왔고, 그렇게 전시회를 기획했습니다.

그래서 가장 먼저 전시할 공간을 찾아보게되었고, 공간을 찾는데 가장 큰 문제는 대여료였습니다. 갤러리는 너무 비싸서 엄두조차 나지 않았고, 복합문화공간에 초점을 맞춰 찾아보았으나, 선택의 폭이 넓지 않았고, 금액도 갤러리와 마찬가지로 상당히 비싼금액을 지불해야 했습니다.

그러던 중 인심 좋은 복합문화공간 대표님을 만나 취지를 설명드리고 전시를 하고 싶다 라고 말씀드리니 예약이 없는 기간에 사용해도 좋다는 말씀을 해주셔서 기간과 공간이 준비되었기 때문에 작품활동을 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기획한 작품을 제작하기엔 넓은 공간이 필요했고, 공간이 없던 저희는 살고있는 집 거실에서 작업을 하였습니다.
흰 천을 깔고 그위에 페인트로 글을 쓰고 마를 때 까지 기다리고, 작업을 하다 보니 사방팔방에 페인트와 쓰레기 등 엉망이 되어 있었습니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우여곡절 끝에 전시회를 성공적으로 마친 후, 저희는 깨달은 점이 있었습니다.

# 처음 도전하게 된 전시회


기득권층의 고유의 소유라 생각했던, 예술과 미술이 사실은 노력열정만 있으면 얼마든 도전할 수 있다는 것과

예비작가 신진작가들이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음과 작품활동을 할 공간의 부재 등 현실적인 문제를 많이 느끼고 있음을 알게 되었고, 그렇기에 잠시나마 이러한 문제를 느껴본 저희들은 어려움이 있는 작가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프로젝트를 구성하게 되었습니다.

 

할머니 집

공방을할머니가 사시던 집을 선택하게 되었으며, 이유는 2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론 이제 막 대학을 졸업한 20대 중반에 저희들은 경제력이 없습니다.
사회초년생이기에 공방을 임대하던가 구입하기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렇기에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할머니께서 사시 던 옛 공간을 직접 수리하고 리모델링하여 활용해보고자 할머니 집을 선택하였습니다.

두번째론 작가들에게 도움이 되기 위함입니다.
저희의 고향인 경기도 파주는 헤이리 예술마을이 있는 도시입니다.
하지만 헤이리 예술마을엔 기성작가들만이 작품활동을 하며 경제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성작가 이외에 이제 막 작가활동을 하거나 대학을 졸업 후 작가활동을 준비하는 작가님들이 많이 살고 계십니다.
서울에 거주하는 작가들과 다르게 파주에 사는 작가분들은비교적 기회가 적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희는 파주에 있는 할머니집을 선택하여 소외된 지역의 작가들에게기회제공을 하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펀딩금액 사용계획]
펀딩금액은 이미 수명을 다해 방치된 공간이다 보니 리모델링을 하면서 필요한
(전기, 수도, 도시가스) 재설치, 리모델링에 필요한 페인트,
공유 공방을 운영하면서신진작가, 방문객분들에게 필요한 가구
(작업할 책상, 의자, 간이 테이블, 쇼파 등)

 

[리워드]

-150,000\ : 완공 오픈파티 초대권

# 공방에서 진행하는 행사 및 바베큐 파티
- 공방 앞 마당에서 하루동안 공방에 입주하신 작가분들과 함께 바베큐 파티

-70,000\ : ONEDAY-CLASS 체험권​

# 입주하신 작가분들에게 배울 수 있는 일일 공방 체험권
- 공방에 입주 예정인 작가분들에게 공방 체험을 할 수 있는 체험권

- 현재 수공예 작가 포함 3명의 작가 섭외 완료


-30,000\ : 입주 작가 전시회 초대권​

# 입주작가 전시회 초청 티켓
- 입주 작가(영상디자인 등)들의 작품을 전시한 전시회 초청티켓
# 리워드 예약된 건 모두 오프라인 진행되며 6월 26일(토)부터 초청 티켓을 발송예정 입니다.

 

-리워드 없이 참여

‘리워드 없이 펀딩’ or ‘추가 참여’를 통해 개설자에게 후원금을 결제하실 수 있습니다. *공생은 기부금영수증 발급이 어렵습니다.

 

현재 리모델링 시작단계 사진, 완공 예시 사진 입니다.

1.



완공 예시 사진 출처(https://blog.naver.com/dreamsewing/221410950434)

2.


완공 예시 사진 출처(https://blog.naver.com/dreamsewing/221410950434)

3.


완공 예시 사진 출처(https://blog.naver.com/dreamsewing/221410950434)

저희 셋은 사촌 형제입니다. 사촌이지만 어렸을 적 부터 한동네에 살며 성인이 된 지금까지도 친형제 못지않게 가깝게 지내며 각자일도 비슷한 위치에 있어 현재에도 같이 동거동락하며 지내고 있습니다. 나이차이가 얼마 나지 않는 저희는 어렸을 때부터 좋은 일도 많이하고 때론 호기심에 장난도 많이 치곤 했습니다. 하지만 좋은 일이던 나쁜일이던 형제끼리 함께 하며 막연하게

"우리가 어른이 되어도 무언가를 같이하게 될 거야!" 라는 생각에 저희 셋 모두 전공도 동일한 IT계열 전공을 하였습니다. 프로젝트의 메인 테마인 예술과는 정반대인 전공이지만 새로운 것에 시도하는걸 즐겼던 저흰 실제 우리들만의 전시회도 진행하며 예술계에 종사하는 사람들에 대한 고충을 몸소 느끼게 되었고 그들의 고충은 개인의 문제뿐 아닌 사회적 문제라고 저희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예술계는 현재 작업공간의 제약, 기회의 부재, 경제활동 불가 등 기득권층의 문화로 자리잡고 있다는 점을 느꼈습니다.
그래서 저희는 직접 경험한 문제 해결에 미천하게 나마 도움이 되고자 머리를 맞댔고, 할머니께서 사시 던 옛 집을 활용하여 작업공간도 제공하며, 신진작가예비작가에게 기회를 부여하자! 라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하지만 이제 갓 대학을 졸업한 저희에게 공간을 수리하는게 필요한 비용을 마련하기 힘들었고, 저희의 꿈과 공간을 공유하실 작가님들께 힘을 보태주실

'키다리 아저씨'를 만나고자 크라우드 펀딩을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저희 "공생"은 여러분 모두의 관심따뜻한 마음으로 성장해 갑니다.​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새로운 도전을 하는 저희에게 많은 응원 부탁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