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망고,우주불망고

투자개요

📑 기업 소개

리블라썸은 세계 각국의 원물간식을 한국의 식문화로 재해석하고 K-Taste 상품을 개발하여 150조원 규모의 글로벌 건강간식 시장과 국내 원물간식 시장에 도전합니다.
전세계 MZ세대를 공략할 수 있는 팬클럽 마켓과 국내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면세점 마켓, 군마트까지 전방위적인 마케팅과 시장 확장에 큰 성과를 이뤄가고 있습니다.

 


📑 투자 하이라이트


💥 BTS의 굿즈인 BT21 브랜드 우주망고 계약 진행 중
💥

💥 국내 대형마트 입점을 넘어 월마트에 입점 협의 중 💥

💥 매년 성장하는 150조 글로벌 건강간식 시장과 1조 국내 원물 간식 시장 💥

사업내용

📑 주요 사업

 🅰 우주에서 가장 맛있는 원물간식

  리블라썸은 '우주에서 가장 맛있는 원물간식'이라는 슬로거능로 독보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였습니다. 창업 1년만에 80여 개의 판매처와 거래하며 4억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2026년까지 연매출 100억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3년부터 현재까지 국내 우수한 중소기업 상품을 발굴하여 약 26만불의 수출실적을 달성하였고, 올해 50만불의 수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사업 성과

 🅰 상표권 등록

  2023년 첫 번째 아이템인 '우주망고(건망고)200g'의 경우 B2B업체 및 과일프렌차이즈를 통해 약 14,000개의 제품을 판매하였습니다. 우주망고, 불망고, 꽃망고는 현재 상표권 등록이 완료된 상태입니다.

 


📑 마케팅 현황

 🅰 체험형 마케팅

  SNS 파급력이 높은 MZ세대가 집결하는 대학로 및 상권에 위치한 업장을 사전에 발굴하여 해당업장과 우주간식을 본인이 운영하는 채널에 해시태그를 포함하여 업로드 시, 우주간식과 이벤트 상품을 제공함으로써 해당매장과 우주브랜드를 상생홍보 하며 SNS을 통해 노출되도록 하였습니다.


 🅱 참여형 마케팅

  성수 및 대학로에 팝업스토어를 오픈하여, 우주간식을 체험 및 할인을 제공하여 잠재고객을 확보하고, 추후 고객의 확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 방송 및 온라인 마케팅

  방송 노출을 시작으로 온라인에서 상품을 검색하고 정보를 수집하는 '웹루밍 마케팅'을 실행합니다.

  블로그 체험단을 통해 우주 시리즈에 관련된 레시피 및 정보를 제공하여 해당 키워드 검색 시 우주시리즈가 상단 노출되며 구독자 대비 조회수가 높은 유튜버를 섭외하여 광고 혹은 동반 성장방식을 통해 지속적으로 브랜드 파워를 강화할 예정입니다.

시장 및 시설 현황

📑 시장 현황

 🅰 국내 간식 시장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식품산업통계정보에 따르면 2022년 '먹태깡'이 '어른용 과자'라는 새로운 카테고리를 개척하면서 아이들이 주로 차지했던 간식 시장에 어른들을 유입시켰습니다. 그 가운데 원물 및 건강간식 시장이 높은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건강한 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커지면서 원재료의 맛과 영양을 살린 '원물'열풍이 거세게 불고 있습니다. 제품 구매에 앞서 성분과 원재료까지 꼼꼼히 확인하는 소비자들의 트렌드는 식품은 물론, 뷰티와 생활용품 등 생활 전반으로 확산되며 원물 열풍에 한 몫을 하고 있습니다.

🅱 글로벌 간식 시장

   전 세계 간식 시장은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슈타티스타'에 따르면 2024년에 약 770조 규모의 시장으로 전망했습니다.  세계적으로 식재료 가격이 오르면서 소비자들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음식을 찾는 추세가 올해도 계속될 것으로 전망합니다.


  스낵은 주로 봉지에 든 채로 유통되어 '봉지 과자'로 불리는데요. 코로나 19사태 이후 넷플릭스 등 온라인동영상서비스가 보편화됨녀서 영상을 보며 즐길 간식거리로 인기가 많아졌습니다.


📑 시설 현황

 🅰 HACCP 인증을 보유한 베트남 현지 공장

  베트남 내에서 원물간식을 제조하는 공장은 많지만, HACCP인증을 보유하고 있는 업체는 많지 않습니다. 우주망고는 베트남 현지에서 가장 많은 원물간식을 생산하는 제조사와 '독점 공급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재무 및 매출 현황

📑 재무 현황

🅰 재무 및 매출 현황

🅱 매출 및 영업이익 예상 


📑 자금 사용 목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