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온교차 헤어스타일러 + AI 놀이터 = 프리미엄 휴대용 헤어스타일러 ‘보블리’
주식회사 제이뷰티랩은 ‘건강한 아름다움’, ‘가지고 다니는 아름다움의 완성’의 캐치프레이즈를 가지고 여성들의 헤어스타일링에 대한 일상의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제품들을 개발하고 있는 회사입니다.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소상공인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2조에 의해 중소기업 확인서를 발급받은 중소기업으로서 신소재인 ’FTED’ 유연열전소자를 세계최초로 헤어기기에 접목하여 ‘급속 냉온교차’ 기능을 실현함으로써 헤어스타일링 시 기존 단순 발열제품들 보다 모발의 탄력도와 유지기간, 손상도를 개선하고 여기에 사용자의 편의성과 ‘노는 재미’ 향상을 위해 보블리 전용 AI APP 을 연동하여 스타일링 가이드와 함께 스타일링 후 가상 이미지를 제공하고 이를 손쉽게 사용자 SNS에 다양한 형태로 업로드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소비자들의 헤어 스타일링에 대한 일상의 애로사항 해결과 ‘노는 재미’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게 하는 프리미엄 휴대용 헤어스타일러를 개발 중에 있습니다.
운전자금 조달 위해 크라우드펀딩 진행
당사는 2020년부터 소비자들의 일상의 애로사항을 해결하는 B2B 및 B2C 헤어기기를 개발중인데 모든 제품은 ‘소비자 경험 중심’ 이어야 한다는 대전제를 가지고 이에 맞게 개발을 진행하기 위하여 본 크라우드 펀딩을 진행합니다.
1) 국내외 모발손상 케어기능 추가된 프리미엄 헤어기기 수요 증가
2) 프리미엄 가정용 헤어스타일러 시장 확대와 그에 따른 프리미엄 휴대용 헤어 스타일러 시장 태동 예상
3) 급속 냉온교차를 가능하게 하는 ‘유연열전소자’ 기술이전 통해 기존 제품들과 차별화된 핵심기술 확보
4) AI 적용된 보블리 전용 APP 통해 제품사용 가이드와 실감나는 스타일링 후의 가상 이미지 제공 및 SNS 연동 통해 소비자들의 편의성과 ‘재미’ 제공
5) 연 7% 이자율, 만기 36개월 전환사채
모집개요
모집정보
현금흐름예시
차별화 포인트
‘보블리’는 ‘가지고 다니는 아름다움의 완성’ 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냉온 교차적용이라는 핵심기능을 통해 기능적인 차별화를 꾀함과 동시에 소비자들이 ‘보블리’ 안에서 ‘PLAY 하는 재미’를 느끼게 하기 위해 인공지능이 적용된 전용APP을 병행 개발하여 진정한 소비자 경험 중심적인 ‘프리미엄 휴대용 헤어스타일러’ 시장의 선구자로서 그 준비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경쟁력
① 급속 냉온 교차적용, 세계 최초 ‘유연열전소자’ 헤어 기기에 도입
작은 헤어롤 안에서 급속 냉온교차 적용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소재인 ㈜테그웨이 사의 ‘유연열전소자’를 헤어기기 분야 독점공급 계약을 체결하여 도입함으로써 기존 제품들 보다 모발의 유지기간, 볼륨도, 손상도를 개선, 기능적인 차별화를 도모하였습니다.
② 사용 편의성과 휴대성을 개선한 ‘디자인
기존 휴대용 헤어기기를 사용하고 있는 소비자 중 약 80%가 불만족을 표현(161명 대상 자체 설문조사 2024.02) 불만족의 원인이 1위 손기술이 없어서 불편하다, 2위 휴대하기 불편하다, 3위 유지기간이 짧다.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런 소비자들의 실질적인 애로사항을 개선하기 위해 ‘핸즈프리’ 형태의 장착형 헤어롤 디자인을 채택하였고 여성들의 가방에 편리하게 가지고 다닐 수 있도록 스마트폰 보다 조금 더 큰 사이즈로 디자인하여 소비자들의 애로사항을 해결하였습니다.
③ AI 전용 APP과의 연동을 통한 사용편의성 개선 및 소비자들의 ‘재미’ 향상
‘보블리 온 스타일’ 이라는 AI 기반 전용 APP을 병행 개발하여 손기술이 없어서 불편해 하는 소비자들에게 보블리를 통해 원하는 스타일을 어떻게 스타일링을 하면 되는지 가이드를 제시하고 나아가 스타일링 후의 모습을 시뮬레이션 하여 이질감 없는 이미지를 제공함과 동시에 개인 SNS에 여러가지 형태로 연동하게 함으로써 헤어 스타일링이 곧 ‘놀이’가 되는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④ 전문성 있는 기업과의 협업 및 공신력 있는 대학과 산학연 파트너십 형성
안양산업진흥원. 경기 테크노파크(TP), 중장년 기술창업센터 주관으로 기술력, 성장성, 사업성, 혁신성 등을 심사 후 선정하는 중기애로 기술지원 사업 및 시제품제작 지원사업, 선택형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아이템의 사업성 및 가능성을 확인하였습니다. 제조분야 협업은 경기도 유망중소기업 선정 및 의료기기 생산 국제표준인 ISO 13485 인증을 취득한 ㈜정우ENG와 핵심소재인 ‘유연열전소자’ 공급 및 관련기술 이전은 ㈜테그웨이와 AI 기반 전용 APP개발은 반려동물의 패션 메타버스 개발기업인 ‘펫 인 유니버스’와 연성대학교의 인공지능분야 전문 교수님들과 MOU를 체결하고 협업함으로써 ‘보블리’의 사업성과 소비자 경험 중심적인 혁신적인 아이템으로서의 연구가치를 인정받았습니다.
출시 예정인 제품
뷰티 및 의료기기 전문 제조업체와의 OEM 시스템 구축
관련 분야의 전문 제조기업인 ㈜정우ENG와 OEM 계약을 체결하여 초기 리스크를 줄이면서 생산의 안전성 및 전문성을 개선하였고 실력 있는 중소기업 간 협업을 통해 상생의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였습니다.
- 경기도 유망중소기업 선정
- ISO 13485 취득
- 일본 명품 헤어기기 브랜드 ‘오오히로’ 생산
- 대웅제약 의료기기 생산
생산가능량
2024년 12월 기준 일일 생산가능량은 약 2000대 입니다.
해외 박람회 참여 추진(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안양산업진흥원, KOTRA 등 연계) : 해외시장조사 실시
알리바바 입점(창조경제혁신센터 지원) 예정
해외 특허로드맵 진행 : 마드리드, 말레이시아 상표권 출원 예정이며, 일본, 중국, 싱가폴, 홍콩, 베트남 상표권도 추가로 출원을 추진하여 상표권 획득 예정, 글로벌 IP스타기업, 안양스타기업 지원사업 연계를 통한 향후 3개년 해외특허권, 실용신안권 출원 예정
수출박람회 및 상담회 참여를 통한 해외시장개척과 바이어 매칭을 추진하고 있으며, 계속해서 해외 시장 판로 확보를 추진
해외 목표시장
1) 장소에 상관없이 간편하고 빠르게 헤어 스타일링을 원하는 전 세계 여성
2) 순간순간 빠르게 업로드 되는 SNS에 진심인 전 세계 인플루언서들
3) K-contents, K-beauty에 관심을 가지고 따라 해보고 싶은 전 세계 많은 K-팬덤
국내 목표시장
1) 기존의 휴대용 헤어스타일러를 구매했지만 만족하지 못하는 소비자
2) 트렌드에 민감하고 그 트렌드에 중심에 있길 원하는 @세대 300만 여학생
3) 고성능 기기에 관심 있는 프리미엄 가정용 헤어기기 구매한 150만 소비자
4) 손재주가 없어서 기존의 헤어기기에 만족하지 못하는 소비자
5) 자연스러운 일상을 갑작스럽게 업로드 할 일이 많아지는 SNS 인플루언서
2023 세계 시장규모 및 2027년 예상 시장규모
1) 한국, 미국, 유럽, 중국 휴대용 헤어스타일러 2027년 예상매출 및 추이 분석
(Euromonitor 2022, Personal Care in the US 2019, Baidu, Google 참조, CHAT GPT 4.0 분석결과)
① 휴대용 헤어기기 2023년 전체 매출 규모 : 약 9,000억 규모
① 휴대용 헤어기기 2027년 예상 매출규모 : 약 1조 2,000억 규모, 약 30% 성장 예상
2) 해외 헤어기기 시장의 특성
① 가성비 시장에서 모발 손상도를 케어하는 프리미엄 헤어기기 시장의 증가가 세계적인 트렌드
② 틱톡, 쇼츠 등 즉흥적인 SNS플랫폼의 확대와 유행, 여행 전문 인플루언서의 증가
→ 프리미엄 휴대용 헤어스타일러 시장 확대의 긍정적 요인
국내 시장 특성 및 규모
1) 가정용 프리미엄 헤어스타일러 시장 규모 및 특성
① 다이슨 ‘슈퍼소닉’ ‘에어랩‘의 가격은 약 60~70만원, 2018년~2023년 누적 예상매출 약 5000억원
(라방바, 다이슨코리아 2023 참조)
② 2023 모바일 홈쇼핑 판매 1위 제품이 ‘다이슨 에어랩‘, 가정용 프리미엄 헤어스타일러 인기지만 높은 가격과 휴대하기 어려운 단점 (지디넷코리아 기사 참조 https://zdnet.co.kr/view/?no=20231208111517 )
2) 휴대용 헤어스타일러 시장 규모 및 특성
① 네이버 키워드 조회 수로 알아본 고객의 니즈 (Naver 2023 참조)
② 휴대용 헤어스타일러(고데기) 제품 가격은 3만원~9만원, 시장 규모는 연간 약 200억~300억
(라방바, 다나와 2022참조) 스타일링 기술이 필요하며 모발 손상이 단점
헤어 컬링기 특허 등록
‘BOBLY’ 상표 등록
당사는 2027년 약 30억원의 매출액과 3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예상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본 채권의 상환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본 펀딩의 모집금액은 1억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