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회사 리모 (REMO)는 「REcover your body MOvement」, 건강한 움직임을 디자인하는 목표를 가지고 설립된 회사입니다. AI기술을 활용해 일반카메라 영상에서의 모션 검출과 생체역학적 분석, AI기반 인체영역인식, 측정기술을 핵심기술로 갖고 있습니다.
AI바우처 공급기업, 데이터바우처 공급기업으로 선정되어 다년간 AI사업을 수행하였고, 정보통신진흥원에서 개최한 2021년, 22년의 온라인 인공지능 대회에서 3D 포즈예측 부분의 1위를 하며 모션분석 전문성, 기술력을 확보했습니다.
현재 2023년 하반기에 출시한 2개의 상용화 제품 (파인핏 AI체형분석기, 리모바디S 보행분석기)과 API 서비스를 판매하고 있으며, 파인핏 제품에서 전문 코치들을 위해 업종에 특화된 움직임분석 고도화 기능개발과 구독결제기능 추가를 통해 해외판매를 확장하여 글로벌 종합 모션건강관리 기업으로 발전하고자 합니다.
당사는 그동안 일반카메라의 사진과 영상을 활용한 3D 체형분석과 모션분석 기술개발에 집중하여 기술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이는데 집중하였고, 피트니스 체형분석기 제품 뿐만 아니라 병원에서 사용가능한 제품도 개발하여 보행분석계로 의료기기 1등급 인증을 확보하였습니다. 2023년 하반기에 출시한 2개의 상용화 제품 (리모바디S 보행분석기, 파인핏 AI체형분석기)과 API 서비스를 판매하고 있으며 24년도에는 스포츠분야 적용 업종 확대 전략, 글로벌 추가 판로 개척 및 홍보 등 기존의 경쟁사와는 다른 소프트웨어 기술 회사로서의 제품 차별화 전략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파인핏 제품의 업종특화 동작분석 고도화, 구독결제 기능 고도화, 교육 콘텐츠 제공 및 해외 판매 마케팅을 하기 위해 본 크라우드펀딩을 진행합니다.
1) 개인건강 관리 관심 증가로 인한 운동센터 및 운동 코치 숫자의 증가
2) 코치의 전문성 향상, 고객의 데이터기반 체계적 운동관리를 위한 도구 필요
3) 파인핏 매력1. 소규모 업체를 위한 일반카메라 사진 영상활용 AI 체형분석, 동작평가 솔루션
4) 파인핏 매력2. 글로벌 판매 가능한 자유도 높은 모바일 SW 솔루션
5) 일반 카메라 전문 3차원 모션분석 AI기술력 보유, 국내 최고 수준
1) 파인핏: 코치를 위한 간편한 AI체형분석기(자체 AI기술, 특허보유)
가. 소규모 업체를 위한 일반카메라 사진 영상활용 AI 체형분석, 동작평가 솔루션
- 리모는 영상 AI기술을 활용하여 ‘올바른 자세’, ‘올바른 움직임’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 기존의 체형분석장치는 특정 장비를 사용해야 하고, 공간이 많이 필요하며, 측정시간이 오래 걸림.
- 세계 최고수준의 3차원 자세분석 기술로 정확도를 확보하면서 측정을 간편하게 하며, 하드웨어 의존성을 낮춰 제품 가격을 낮추어 체형분석을 대중화시키는데 앞장서고자 함.
- 2023년 6월 피트니스용 AI체형분석기 “파인핏” 서비스 출시, 24년 5월 기준 80개 업체에서 활용
나. 제품의 주요특징
① 정면, 측면사진촬영을 통해 9가지 체형 불균형 및 신체사이즈를 간단하게 측정 가능
② 신체기능평가 비디오 동작을 촬영하여 전신, 하체의 운동능력 평가 제공
③ 높은 정확도의 3차원 인체자세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일반카메라에서 작동, 측정 편의성 높음.
④ 최소한의 2평 공간사용, 장비의 휴대성이 좋아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
⑤ 정량적인 분석결과로 고객에게 시각적인 피드백을 줄 수 있으며, 과거 기록과 비교하여 고객 관리 가능. 유저용 뷰어 앱, 개인 맞춤운동 서비스 제공
다. 주요기능
① AI체형분석: 정면, 측면 사진 촬영을 통해 9가지 체형 불균형을 확인
- 거북목, 라운드숄더, 앞뒤 기울기, 머리 좌우 기울기, 어깨 좌우 높이, 골반 좌우 기울기, 무릎 기울기,
- O/X 다리, 전신 좌우 기울기
② 신체둘레분석: 정면, 측면 사진 촬영을 통해 간편하게 신체 사이즈 분석
-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허벅지둘레, 팔길이, 다리길이
③ 신체기능평가: 일반카메라로 촬영된 동영상의 3D전문분석으로 신체기능평가 제공
- 오버헤드스쿼트, 착지동작 분석 (LESS test)
④ 미래 체형 예측: 생성AI기술을 활용한 최고의 이상적인 체형 예측
라. 글로벌 판매 가능한 자유도 높은 모바일 SW 솔루션
- 다국어 지원 가능한 AI 체형분석기로 안드로이드 소프트웨어 형태로 전세계 판매 가능. 현재 지원언어 한국어, 영어 2종. 하반기내 6개 이상 언어 추가예정
- 2024년 독일 피트니스 전시회 FIBO에서 14개 국가 바이어, 트레이너, 센터들과 제품 판매논의
2) 체형, 모션분석 API 서비스 판매
가. 스포츠 교육업체를 위한 사진, 영상에서 체형, 모션분석이 가능한 API 서비스 판매
- 스포츠 교육에서 개인의 체형과 신체기능 분석은 가장 기본적이며 특히 체형분석은 모든 스포츠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음. 신체기능분석은 업종별로 특징이 있는데, 골프에서는 어드레스 포즈, 스윙 동작분석, 축구에서는 슈팅동작분석, 달리기 분석 이 사용됨.
- 리모의 API서비스는 기본적으로 스포츠, 헬스케어 서비스 개발업체를 위한 기능임. 엘리트 프로선수의 자체 교육서비스 개발을 돕고 맞춤 기술을 제공함.
- 현재 판매되는 API는 체형분석, 보행분석, 자유모션분석 등임
1) 리모바디 모션 AI: 단일 2D사진에서‘3차원 움직임 인식, 신체기능평가 기술’
가. 영상기반 간단한 3차원 움직임 검출 및 3D 렌더링 기술 보유
- 공급기관(리모)가 개발한 일반 카메라기반 3차원 모션분석 AI솔루션은 딥러닝 기술을 통해 단일 동영상 이미지로부터 주요 3차원 주요관절위치를 예측하고 주요 관절간의 각도변화 등을 활용하여 운동 동작의 정확도를 평가하는 시스템임.
- 주로 피트니스 분야, 의료분야 영상데이터의 3차원 정보의 획득 및 상세 관절각도 분석, 전신 밸런스 분석 등의 결과를 도출함
나. 영상기반 간단한 신체기능평가 및 걷기 영상정보에서 개인의 건강상태 파악 기술 보유
- 위험상황 발생 예방을 위해서는 개인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 근로자의 움직임 영상 분석(동적분석)을 통해 근로자별 연속 건강상태 모니터링
① 4m 일반 걷기 동작: 평상시 속도로 걷는 동작 (4m) 을 통해 보행의 시공간적 요소 (보행속도, 주기, 걸음폭, 하지관절의 동작범위, 좌우 벨런스 등)를 검출할 수 있고, 동 나이대 정상인 대비 본인의 현재 상태와 연속 측정일에서 본인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음
- 보행자 인식 및 연속 모션검출, 3차원 보행분석(걸음수, 보행속도, 주기 등 검출, 정확도 95%
② LESS(testing lower extremity function): 스텝퍼 30cm 높이의 스텝퍼에 서서 앞으로 점프하고 바닥에 착지 후 제자리에서 한번 더 점프하는 동작으로, 총 13개의 모션으로 분류하여 하체의 기능평가함. 무릎의 굽힘 각도, 허리(trunk)의 굽힘, 좌우이동범위, 발목의 굽힘, 착지시 발의 위치(각도), 착지시 발의 간격, 착지시 발의 착지 균등성, 점프후 착지시 무릎의 굽힘 위치변화를 점수화하여 정량적으로 평가, 동작 구간별 자동분류 알고리즘 개발보유
다. 일반카메라 영상에서 동작의 단계분류 알고리즘 보유
- 스켈레톤기반 트렌스포머모델(Skeleton based transformer model)활용 시계열데이터에서 주요 동작의 단계분류 알고리즘 개발. 골프 모션스윙의 9가지 동작에 대한 분류 기술보유, 정확도 90% (자체평가)
2) 리모바디 체형 AI: 단일 2D 사진의‘ 신체영역인식, 체형생성, 신체치수예측 기술’
- 사진에서 대상 단독 인식 및 실루엣 검출(배경 제거), 신체 파트별 영역인식 기술 보유
- 사진에서 3차원 체형을 예측하고 신체치수를 측정하는 AI솔루션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가슴둘레) 으로 2D데이터에서 신체 부위를 일차적으로 인식하고, 아바타를 생성하여 둘레값을 예측
- 객체 인식 정확도 개선: 중앙값 기준으로 단일객체 인식, 주변배경과 머리카락 제외되고 영역인식하도록 영역인식 알고리즘 고도화
- 단일 운동영상에서 운동도구(아령, 골프채, 공 등) 영역인식 AI 보유 및 기술 적용 예시
1) 파인핏 국내 판매 – HW+SW 통합모델
- 전국 스포츠 판매, 컨설팅업체인 ㈜에스포텍 총판 판매체계로 자체 영업망, 협회를 통한 판매, 블로그마케팅을 통한 영업 판매가 발생되고 있음.
- 24년 상반기 소상공인 스마트상점 사업을 통해 10-20대 판매 예상 중이며 24년 하반기에는 렌탈형(2년, 3년)으로 판매될 예정임.
2) 파인핏 해외판매 – SW 구독형모델
- 24년 4월 독일 피트니스 전시회 참가를 계기로 유럽 및 중동권 국가를 대상으로 파인핏의 소프트웨어 구독형 판매를 시작할 계획임.
- 다국어 지원 가능한 AI 체형분석기로 안드로이드 소프트웨어 형태로 전세계 판매 가능. 현재 지원언어 한국어, 영어 2종. 하반기내 6개 이상 언어 추가예정
3) 스포츠 헬스케어 API 판매
- 24년 2Q REMO-API 체험사이트 오픈, B2B 계약 진행.
- 체형분석, 신체사이즈분석, 보행분석, 모션분석 AI API 판매 (월구독, 연구독형)
- 24년내 국내 50개 업체 계약 목표
1) B2B2C 파인핏 제품 판매 비즈니스 모델 (국내: HW+SW, 국외: SW)
- 파인핏은 기본적으로 스포츠 센터, 트레이너에게 판매되는 제품판매 비즈니스 모델임. 소형은 200만원(부가세포함), 중형은 400만원(부가세포함)으로 소비자가가 형성되어 있으며 구매후 초기 2년 기간동안 체형분석 외의 신체기능평가, 미래체형분석, 신체둘레분석 및 최신 추가 AI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2년 종료후에는 체형분석 기능은 기본으로 사용가능하며 그외 추가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월 구독을 해야함. 센터용 체형분석기의 개인 측정 데이터를 볼 수 있는 유저용 파인핏 애플리케이션이 ㅂ 추가적으로 있으며 현재는 가벼운 뷰어정도의 형태이고, 고도화를 통해 건별 개인결제가 가능한 형태로 B2B2C로 발전될 계획임.
- 해외판매는 기본적으로 안드로이드 월구독 소프트웨어만 판매 예정이며 24년 하반기부터 6개월 기본 계약 후 월구독 형태 (월 30유로)로 판매예정임
2) 파인핏 판매현황 (국내)
- 파인핏 제품은 23년 6월부터 판매가 시작되어, 23-24년 뉴바디필라테스(국내 최대규모 330평) 포함, 80곳에 판매됨. 대부분 실내체육업, 체력단련시설운영업종, 필라테스업종. 대표 포함 2인 이하 운영업체 42% 로 구성되어 있음.
- 전국 스포츠 판매, 컨설팅업체인 ㈜에스포텍 총판 판매체계로 자체 영업망, 협회를 통한 판매, 블로그마케팅을 통한 영업 판매가 발생되고 있음
- 24년 상반기 소상공인 스마트상점 사업을 통해 10-20대 판매 예상 중이며 24년 하반기에는 렌탈형(2년, 3년)으로 판매될 예정임.
3) 파인핏 판매현황 (국외)
- 24년 4월 독일 피트니스 전시회 참가를 계기로 유럽 및 중동권 국가를 대상으로 파인핏의 소프트웨어 구독형 판매를 시작할 계획임.
- 현장에서 컨텍한 14개 국가 바이어, 트레이너, 센터들과 제품 판매 논의
- 현재 다국어 (영어, 한국어)는 지원되지만 자동결제 시스템이 구현되지 않아 고도화 필요
- 2024년 하반기 판매 가능하도록 국가별 개인정보법 검토, 국가별 계약서 진행 중임
-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마케팅 활동의 확대, 브랜드 인지도의 향상 필요
1) 국내외 스포츠산업 시장규모:
가) 국내 시장규모
- 국내 스포츠산업 시장규모는 2022년 기준 78조원으로 2020년 이후로 매년 20%이상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음. 코로나로 인해 2020년에 스포츠산업이 큰 타격을 입었음을 감안해도 높은 성장률임.
- 피트니스 센터, 필라테스 등의 체력단련시설업 시장규모는 2020년 757억원에서 2021년 1조8천640억원, 2022년 2조 3천470억원으로 급격한 성장을 보임.
나) 글로벌 시장규모
- statista의 2020년 발간된 ''Total number of health clubs worldwide from 2009 to 2019, by region" 보고서에 의하면 전세계의 피트니스 클럽은 2018년 기준 2억개 업체가 이상임
- 글로벌 피트니스, 헬스클럽 시장규모는 2018년 기준 917.7억 달러, 2022년 기준 1040.5억 달러, 2023년 기준 1121.7억 달러로 코로나19로 인한 쇼크를 벗어났고, 2030년에는 2027.8억 달러로 8.83%의 성장률이 예상되고 있음.
- 스포츠에서의 체형분석은 가장 기본이 되는 건강상태 분석으로 높은 수준의 영상AI 기술로 모바일에서 구현된 기술이 해외 트레이너, 센터들로 판매되고 사용하기 용이함
2) 타겟 고객
① 10년 간 피트니스 센터 수 약 54%증가, 운동에 투자하는 시간 비용 증가
-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의 2020년 발간된 '피트니스 센터의 현황 및 시장여건 분석' 에 의하면 2019년까지 데이터에서 전국 약 9천 9백여개의 피트니스 센터가 운영 중임
-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도에 가장 많은 센터가 있으며 인구대비 가장 많은 곳은 서울임.
② 코로나시기(2020년) 신규 사업장의 증가세는 없었으나 현재 급속도 증가 중
- 국세청의 100대 생활밀접업종 신규 사업자 현황을 보면, 스포츠시설운영업, 스포츠교육기관, 헬스클럽의 신규 사업장 수는 2019년에는 각각 –4.9%, 23.2, 19.9%의 증가율을 보였고, 2020년에는 다소 감소 (-11.5%, –0.4%, -1.0%) 했고 2021년에는 다시 3%(76개), 13%(585개), 26.0%(474개)로 증가하였음.
③ 필라테스, 개인 소규모 PT샵의 증가
- 창업비용은 5000만원의 소자본 창업, 14평부터 40평까지 사이즈 다양
- 2019년 기준 피트니스 센터의 폐업률은 7.7%로 PC방 15.7%, 커피숍 14.4% 등 타 업종대비 낮은 편임.
- 대부분의 창업자가 전문지식을 필요로 하는 피트니스 산업 종사자(운동선수, 관련 자격증 소유자 등)로 진입장벽이 높음.
- 회원제로 운영하는 업종의 특성상 타 업종 대비 영업기간은 길고 폐업률은 낮은 편임.
3) 경쟁사 분석
본 펀딩의 모집금액은 100백만원이며, 일반 사업운영자금으로 사용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