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장애인,스마트폰

기업개요


시각장애인 전용 스마트폰 서비스

디지털전환이 가속화되어 가고 있는 요즘, 쇼핑도 음식주문도 비대면진료도 모두 스마트기기를 통한 온라인 서비스로 대체되어가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이 온다면 아마도 대대적인 혼란이 야기되지 않을까요? 

디지털 정보격차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장애인, 저소득층, 농어민, 고령층의 디지털정보화 수준은 일반인의 70% 정도 수준이라고 합니다. 공식적인 연구조사결과가 아니더라도 시각장애인들이 겪는 디지털정보격차는 충분히 짐작가능합니다.  

(주)에스엠플래닛은 전국 26만여 명의 시각장애인들이 더욱 쉽고 편리하게 세상과 소통할 수 있도록 시각장애인 전용 스마트폰 솔루션을 제공하는 인증 사회적기업입니다. 

시각장애인들이 겪고 있는 정보통신기술 활용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해온 에스엠플래닛은 2022년 5월 출시 예정인 터치형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폰 (서비스 명칭 Way Makers)의 기술고도화 및 마케팅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4번째 펀딩을 진행합니다. 



투자핵심노트

1. 시각장애인을 위한 터치형 스마트폰 웨이메이커스(Way Makers) 2022년 5~6월 런칭 예정
- 제조사의 폴더형 스마트폰 제작 중단 및 기술 개발에 따른 앱 호환성 등의 이유로 터치형 스마트폰에 대한 시각장애인들의 수요 증대

2. 2021년 한해동안 수차례 기술경진대회 수상 및 R&D 과제 선정
-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활용 창업 경진대회 대상, 소셜벤처 경연대회 전국 부분 최우수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ICT 특별상 표창, D-Track 기술 디자인 공모전 서울시장상 및 종합대상, 장애인 인식개선 공모전 영상부분 최우수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스마트 콘텐츠 R&D 선정(사업비 2억 4천만원), 산업통상자원부 사회적 경제 R&D 선정(사업비 2억 6천만원)

3. 26만 시각장애인 스마트폰 유저를 위한 CS 채널 구축 완료
- 전용 CS 채널(1688-2598) 구축하여 개통 및 발송 서비스 지원
- 2021년 국내 누적 가입자 약 5천여명, 최근 4년 누적매출 약 16억원
- 매월 약 100~150여명의 신규 가입자 발생

4. 4차 앵콜 펀딩, 연이율 12%, 만기 12개월(6개월 중도 분할 상환)
- 3차례 채권형 크라우드펀딩 성공 및 상환완료
- 펀딩성공률 1차 84%, 2차 115%, 3차 126% 기록

 

현금흐름 예시(단위 : 원)

  일자 투자일수 현금흐름
투자 2022.06.14   -5,000,000
상환 2022.12.14 184 +2,800,000
  2023.06.14 181 +2,650,000
수익   365 +450,000

*상기 현금 흐름의 예시는 세전 금액이며, 이자소득세 및 지방세를 금융기관에서 원천징수 후 계산된 금액이 투자자에게 실지급됩니다.

사업내용

시각장애인 디지털정보격차 심화

한국 시각장애인 연합회에 따르면 국내 시각장애인 인구는 약 26만 명으로 추산되며, 기술이 발전할수록 더욱 더 非시각장애인들과 정보접근성 격차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시각장애인의 95%는 후천적 요인에 의하여 장애를 가지게 되며, 후천적 시각장애인일수록 非시각장애인 시절의 학습효과로 인하여, 온/오프라인의 정보 이용에 대한 열망이 높으며, 적극적으로 스마트폰을 활용하고 싶은 의지가 높은 편입니다.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20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에 따르면 시각장애인의 경우 인터넷 이용 의향은 있지만 여건이 되지 않아 비자발적 이용자가 될 수 밖에 없는 이유로 ‘신체적 제약으로 이용이 어렵기 때문’이라고 답변한 비율이 78.8%에 달합니다. 이는 2018년 대비 13%가 높아진 수치로, 디지털화가 가속화되면서 시각장애인들의 소외가 더욱 심화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전용 스마트폰

에스엠플래닛이 제안하는 웨이메이커스는 “시각장애인 전용 스마트폰 런처”를 탑재한 스마트폰입니다.

Noiseless / UDI / DOC / TTS 기술

네이버, 유튜브 등을 이용할 경우 광고 및 메뉴 등 불필요한 노출을 자동으로 필터링하여 정확히 텍스트로 변환된 정보만을 전달합니다. 사투리, 보안, 프라이버시 등 음성명령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착형 키패드를 개발하였고, 광고 등 원하지 않는 정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단축키를 사용하도록 설계하여 시각장애인들의 스마트폰 사용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에스엠플래닛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의 진화

1기 폴더형 스마트폰

2기 터치형 스마트폰

3기 웨이메이커스

4기 물리형(탈착식) 키패드 적용 후 모델


(사)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와 협약

(사)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와 협약을 맺고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 개발 및 유통을 위탁 받았습니다.

(사)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와의 협약서 일부 발췌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터치형)의 매출 발생 구조

시각 장애인이 유선(1688-2598)으로 스마트폰을 신청하면 음성녹음을 통한 통신가입계약서 작성, 시각장애인 전용 솔루션을 탑재한 스마트폰 개통, 점자로 된 안내서 별도 제공 등 일련의 과정이 이루어집니다.

또한, 가입 전에 가까운 (사)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의 지부 또는 복지관을 방문하여 사전에 비치한 샘플을 미리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가입 과정에서 고객은 사용 요금 포함, 월 15,000원~25,000원만 부담하게 되며(복지 할인 및 요금 최저설계), 에스엠플래닛은 스마트폰 1대당 약 15~35만 원 상당의 개통 수수료를 통신사로부터 받습니다.

또한, 웨이메이커스에 탑재된 컨텐츠들을 통한 매출 쉐어도 새로운 매출원으로 만들어갈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웨이메이커스를 통해 컨텐츠 이용 시 컨텐츠 제공 회사와 매출을 쉐어하는 구조)


3기 웨이메이커스 개발 필요성 및 현황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 1기 폴더형의 경우 물리적 키패드가 있어 시각장애인들이 보다 거부감 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지만, 기기 자체가 ’17년도 제조된 모델로 하드웨어 스펙이 떨어져 최신 App과의 연동 불가, 부품 생산 중단으로 인한 A/S의 어려움, 각종 스마트폰 액세서리와 호환 불가, 5G 기술 적용불가 등의 한계가 드러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단종의 걱정이 없고 어떤 앱, 콘텐츠와도 호환이 가능한 터치형 스마트폰(Way Makers)의 개발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당초 3기에 해당하는 웨이메이커스는 2021년  하반기에 베타 테스트 버전을 출시하고,  시각 장애인분들의 사용자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테스트 결과 다양한 기능들에 대한 요구 조건 등이 상향되어, 이를 반영하기 위해 추가로 최소 약 500여명 이상의 시각 장애인에 대한 사용성 테스트를 진행하기로 하였습니다. 코로나 이슈로 대면 교육 및 테스트에 어려움을 겪어 오면서 런칭 일정이 예정 보다 다소 지연되었으나, 2022년 5~6월경 런칭할 예정입니다

홍보마케팅 계획

웨이메이커스의 사용 확산을 위해 시각장애인들이 많이 사용하는 미디어인 라디오를 통해 광고를 시행할 계획입니다. 

지원사업 선정 현황

사업추진계획

시각장애인을 위한 O2O 플랫폼 구현

시각 장애인이 스마트폰 하나로 비 시각 장애인과 마찬가지로 쇼핑, 교통, 엔터테인먼트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이 궁극적인 기술 목표입니다.

신한대학교 등 다양한 연구 기관과의 제휴를 통한 기술 고도화

기술 기반의 시각 장애인을 위한 다양한 사회공헌사업 다각화 진행 중

시장/매출현황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동통신 단말기 유통망 실태조사』에 따르면 2018년 국내 이동통신 단말기 유통점 매출 합계는 10조 9,000억원입니다. 여기에 전체인구 대비 시각 장애인 인구 비율(0.5%)을 곱하고, 시각장애인 스마트기기 보유율(73%)(한국정보화진흥원 『2018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참조)를 곱하여 약 400억 원 규모로 국내시장을 산정하였으며, 실버시장까지 진출할 경우 시장규모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에스엠플래닛은 국내 시장의 경우 2022년 약 5,000여명의 신규 가입자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에 내수 매출은 약 12억 정도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 내수 매출 근거:  약 30만 원(1인당 개통 수수료) X 5,000 명(가입자 수) ≒ 12~15억원
- 수출 매출 : 70억원 (구매 의향서 기준. 환율 1달러 =1,224 원 기준)

2018년 4월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와 공식 협약 체결 후 현재까지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 가입자는 약 5~6천여 명입니다. 매월 꾸준히 150~200명이 신규로 가입하고 있으며, 이는 매출로 월 3,000만 원 ~ 4,000만 원 정도입니다.

코로나로 잠시 중단되었던 수출 관련 업무들이 재개되면서 빠르면 22년말~23년 초 사이에 수출이 실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2022년 2월 가나에 샘플 수출이 실행되었습니다.

재무추정

매출추정

(단위 : 백만원)

구분 2021* 2022(F) 2023(F)
매출액 513 1,200 1,500
매출원가 241 600 600
매출총이익 271 600 900
판매관리비 701 400 600
영업손익 -430 200 300
영업외손익 511 300 300
당기순이익 45 500 600

*가결산 자료
**국제 정세 변동성이 강하여, 수출 매출 미포함

매출추정자료의 근거는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구분 사업분야 2021 2022(F) 2023(F)
핸드폰 매출  국내 폴더형 513 100 100
터치형 - 1,100 1,400
해외 폴더/터치형 - - 7,000

*외부 요인에 의한 변수가 많은 해외 수출 예상 실적은 최대한 보수적으로 예상

2022년 1월 ~ 2월 매출액이 약 90,000,000원으로, 월 평균 매출은 약 50,000,000원 안팎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웨이메이커스의 예약이 약 3천여명을 넘어선 것으로 보아, 출시 이후 2022년 목표 매출 달성은 무난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매출액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2021년 대비 약 250%의 성장을 보이고, 당기순이익도 약 5억원 정도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특허/수상현황

에스엠플래닛은 시각장애인전용 터치형 스마트폰을 개발하던 2021년 한해동안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활용 경진대회, 소셜벤처 경연대회, D-Track 기술 디자인 공모전 등에서 수차례 수상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산업통상자원부 R&D 지원사업에 선정되는 등 멋진 성과를 만들어내었습니다.

2021.07 울산광역시 공공데이터활용 창업경진대회 대상
2021.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ICT 특별상 표창
2021.10 충청남도 공공데이터 활용 창업경진대회 대상
2021.10 소셜벤처 경연대회 최우수상
2021.11 제4회 D-Track 기술 디자인 공모전 특별상
2021.11 제4회 D-Track 기술 디자인 공모전 특별상
2021.11 장애인 인식개선 공모전 최우수상
2021.11 제9회 범정부 공공데이터 활용 창업경진대회 우수상

자금사용목적

본 펀딩의 최초 모집금액은 4천만원입니다.

구분 모집금액
터치형 스마트폰 마케팅 비용 1천만원
터치형 스마트폰 내수용 R&D비용 2천만원
터치형 스마트폰 해외용 R&D비용 1천만원
총액 4천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