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개요

현재 비임상 시험은 시험물질의 생산과 분석법 개발이 순조롭게 완료되었고, 1개월 가량 소요되는 마지막 단계만을 남겨 두고 있습니다.

쿼럼바이오의 기술은 성공확률이 아주 높다고 자신있게 말씀드립니다. 왜냐하면 쿼럼센싱 억제제 기술은 확장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신약에서는 치매치료제 뿐만 아니라 슈퍼항생제, 대장암치료제로도 개발이 가능합니다.

이미 상용화된 기술은 구강제품 뿐만 아니라 장건강, 피부건강제품까지 확장하였습니다. 최근 국내 대기업에서 큐시갈락토 마이크로바이옴 기술에 큰 관심을 보여 기술 이전 등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를 시작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심혈관질환, 당뇨병, 자가면역질환, 골다공증, 대사성질환, 신경질환 등 주요 질병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NLRP3 인플라마좀을 억제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함으로써 추가 파이프라인 확충하는 작업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표이사의 대여금 5억원과 전환사채 10억원을 출자전환하여 재무구조를 크게 개선하였습니다.

투자핵심노트

# NLRP3 인플라마좀 억제 기전 규명

NLRP3인플라마좀 억제제는 지금 가장 주목받고 있는 신약 중의 하나입니다. 로슈는 인플라좀을 계약금 5천억원, 마일스톤을 포함하면 수조원에 인수하여 큰 관심을 표했고, NodThera는 550억원의 시리즈B 투자를 유치하였습니다. 또한 많은 글로벌 제약사들이 후보물질을 확보하려고 노력 중입니다.

이렇게 큰 관심을 받는 이유는 NLRP3 인플라마좀이 각종 염증 관련성 질병의 원인이기 때문에 이러한 질병들의 예방 및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NLRP3 인플라마좀 관련 질환 종류
당사 신약후보물질이 NLRP3 ATP binding site를 block하는 모식도

당사는 최근 구조적 모델링을 통하여 신약후보물질이 NLRP3의 ATP binding site에만 특이적으로 block하는 효율적인 억제제임을 입증하였습니다.

이러한 약의 작용기전(Mode of Action)을 명확하게 규명한 것은 임상IND 승인과 추가 파이프라인의 확충 가능성을 높이는 큰 성과입니다.

# 치매치료제, 슈퍼항생제 비임상 순조로운 진행

쿼럼바이오의 신약후보물질 QAL333의 비임상시험은 현재 순조롭게 진행중이고, 시험물질의 대량생산과 분석법 개발을 완료하여 이제 4주 반복독성시험만을 남겨두고 있습니다. 이미 예비 동물시험에서 충분한 안정성을 확인하였기 때문에 남은 4주 독성시험도 무난하게 통과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관련기사보기)

QAL333은 치매의 직접원인이 되는 NLRP3 인플라마좀을 효율적으로 억제하는 효능을 보였습니다. 또한 QAL333은 슈퍼박테리아와 대장암유발균을 효율적으로 억제하여 슈퍼항생제와 대장암치료제로도 확장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뛰어난 확장성은 세균들의 공통적인 질병유발 길목이 되는 쿼럼센싱을 억제하고, 여러 질병의 원인이 되는 NLRP3 인플라마좀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 특례상장
을 위한 2022년 3가지 중점 준비

기술평가에 직접 참가한 평가위원들의 말에 따르면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에서 기술통과 기준은 1) 기술기반 매출 2) 임상 단계보다는 가능성과 시장성 3) 라이센스아웃과 추가 파이프라인 확충이라는 기준을 제시 받는다고 합니다. 최근 기술 단계보다는 매출에 큰 비중을 두어서 기술을 기반으로 어느정도 매출이 나오면 기술성평가를 통과하기 쉽고 실제로 그러한 기업들이 많이 상장을 하였습니다.

쿼럼바이오는 올해 라이센스 아웃과 매출성장을 기반으로 하고 임상시험에 진입함으로써 2023년 상반기에 기술특례상장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만약 치매치료제, 슈퍼항생제가 임상1상 승인을 받게 된다면 상장은 물론 높은 기업가치를 인정받게 될 것입니다.

# 소득공제 혜택
소득공제 혜택과 주식 처분시 양도소득세 면제
- 투자금 3천만원까지: 100% 소득공제
- 3천만원~5천만원: 70% 소득공제
- 5천만원 초과: 30% 소득공제
예시) 1억 투자시 3천만원에 대해서는 100%, 3천에서 5천만원 즉 2천만원에 대해서는 70%, 나머지 5천만원에 대해서는 30% 소득공제 혜택

# 재무구조 개선
대표이사 대여금 499,989,000원과 전환사채 1,085,000,000원 중 1,004,912,000원을 보통주로 출자전환하여 재무구조를 크게 개선하였습니다.

 

사업내용

게임체인저 쿼럼센싱 기술(QSI)


코로나19 이후 위기는 슈퍼박테리아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 이유는 내성 슈퍼박테리아가 국내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반면에, 항생제 신약 개발은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상황때문에 2050년에는 3초에 1명씩 사망하여 사망률 1위가 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습니다. 항생제 개발에는 오랜 기간동안 수조원의 자금이 소요되지만 내성이 생기면 무용지물이 되기 때문에 항생제 개발을 꺼리고 있어서 내성문제는 인류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내성문제는 곧바로 사망률 증가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최근 국내 주요 사망 원인에서 폐렴과 패혈증이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러한 원인은 다제내성균의 감염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인데, 많은 연구에서 이러한 항생제 내성의 주된 원인을 바이오필름으로 지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바이오필름은 단순히 세균들이 모여 있다고 생기는 것이 아니라, 쿼럼센싱이라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그림에서 보시면 아래쪽은 세균이 많지만 흩어져 있고, 위쪽은 공모양으로 뭉쳐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방어막같이 매우 끈끈한 물질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반드시 쿼럼센싱이라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쿼럼센싱은 세균들이 일정 수 이상으로 증식하게 되었을 때  세균의 집단행동 양식을 변화시키는 일종의 세균간 의사소통 체계입니다.

쿼럼바이오의 주력기술은 쿼럼센싱 억제제를 활용하여 신약과 마이크로바이옴 제품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합성 신물질은 지금 치매치료제, 슈퍼항생제 신약으로 개발하고 있고, 마이크로바이옴제품은 큐시갈락토 원료를 기반으로 기능식품, 동물사료, 구강제품, 피부제품의 형태로 제품을 출시한 상태입니다.

 

의약품 개발


# 슈퍼항생제
패혈증 치료제로 개발 진행
현재 서울대병원과 협력하여 패혈증 치료제로 개발을 진행중에 있고, 현재 진행중인 비임상이 종료되면 패혈증 치료제로도 임상진입이 가능합니다.

항생제와 쿼럼센싱 억제제를 병용 투여하는 방법은 세균들의 바이오필름 형성을 차단하고 항생제 내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최고의 방법입니다. 또한 기존 항생제의 효능을 높이면서 유효균종 학대, 즉 적응증을 확대할 수 있습니다.

이 그래프는 QSI를 사용했을 경우 항생제의 효능을 높여주는 것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그래프는 항생제를 복용한 후 체네 항생제 농도변화를 시간에 따라 표시하고 있습니다. 가로 점선은 항생제가 효과를 낼 수 있는 농도를 표시합니다. 왼쪽 그림은 바이오필름이 있을 경우 높은 농도의 항생제가 필요하지만 우측 그림처럼 QSI를 병용하는 경우 바이오필름 장애물이 없어져서 낮은 항생제 농도에서도 효과가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 데이터는 당사의 QSI후보물질을 사용하여 항생제의 효능을 높이는 실험결과 입니다. 위 그래프에서 좌측 cefepime은 효과가 큰 항생제, 중간 Meropenem은 중간 정도의 효과, 오른쪽 ampicillin/sulbactam은 효과가 거의 없는 항생제입니다. 위 실험은 모든 종류의 항생제에 대하여 효과를 증대시키는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특히 오른쪽의 그래프(ampicillin/sulbactam)에서 볼 수 있듯이 항생제가 듣지 않는 세균에 대해서 QSI를 같이 투여했을 때 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항생제가 듣지 않는 슈퍼박테리아에 쿼럼센싱 억제제를 같이 투여하면 치료가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하는 결과입니다.


# 치매치료제
치매치료제 현재 시장 상황
현재 치매치료제는 이미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지만 신경세포의 사멸을 차단하는 실질적인 치료제는 없습니다. 아두카투맙이 최근 유일하게 FDA승인을 받았지만 효과에 대해서는 상당한 논란이 있습니다.

쿼럼바이오의 치매치료제 개발 전략
쿼럼바이오의 치매치료제는 쿼럼센싱과 인플라마좀을 동시에 억제하는 2중 기능으로 신경세포의 사멸을 억제하여 치매를 예방, 치료하는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신약 후보 QAL: 뇌침투 세균과 NLRP3 Inflammasome 동시 타겟팅
최종후보물질인 QAL333은 신경세포 사멸을 억제하는 치매의 근본적인 치료제입니다. 쿼럼센싱 억제를 통해 세균의 바이오필름과 병독성 인자 방출을 차단합니다.
NLRP3 인플라마좀은 최종염증반응을 매개하기 때문에 치매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알려졌습니다. 쿼럼바이오의 신약후보물질은 인플라마좀을 효율적으로 억제하여 신경세포의 염증과 사멸을 억제하는 것을 동물실험으로 입증하였습니다.

글로벌제약사의 집중 조명을 받는 NLRP3 인플라마좀 억제제

최근 연구에서는 NLRP3 인플라마좀이 치매의 직접 원인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플라마좀을 억제하는 것이 치매를 치료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당사의 치매후보물질 QAL series 가 NLRP3 인플라마좀 억제 기능이 발견되면서 상당히 가치가 높아졌습니다. 임상1상에만 진입하더라도 아마 1조원 이상의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최근 치매치료제는 NLRP3인플라마좀 억제제가 가장 핫합니다. 로슈는 인플라좀을 계약금만 5천억원에 인수하여 큰 관심을 표했고, NodThera는 550억원의 시리지B 투자를 유치하였습니다. 또한 노바티스, BMS 등의 글로벌 제약사들은 NLRP3인플라마좀 개발 기업들을 인수하려고 시도하고 있다고 합니다.

인플라마좀은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에서부터 천식, 염증성 장 질환, 만성신장질환, 심혈관질환, 관절염, 비알코올성지방간염(NASH)까지 다양한 염증질환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개발에만 성공한다면 파급효과는 어마어마할 것 같습니다.

<NLRP3 인플라마좀의 염증반응 때문에 유발되는 질병>


NLRP3 인플라마좀 억제 메커니즘(Mode of Action, MoA) 규명
NACHT 도메인의 ATP binding 형태는 ATP가 결합하는 다른 종류의 ATPase, kinase 등 과는 다르게 활성시 구조적인 변형을 유도하기 위해 많이 휘어져 있는 형태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휘어진 ATP와 구조적으로 유사한 화합물을 디자인할 경우, NLRP3 인플라마좀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좋은 신약후보물질이 될 수 있고, QAL333은 구부러진 형태의 ATP와 구조적으로 유사합니다.

실험쥐의 뇌 신경세포 염증감소 효과 확인
NACHT 도메인의 ATP binding 형태는 ATP가 결합하는 다른 종류의 ATPase, kinase 등 과는 다르게 활성시 구조적인 변형을 유도하기 위해 많이 휘어져 있는 형태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휘어진 ATP와 구조적으로 유사한 화합물을 디자인할 경우, NLRP3 인플라마좀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좋은 신약후보물질이 될 수 있고, QAL333은 구부러진 형태의 ATP와 구조적으로 유사합니다.

QAL333: 뛰어난 BBB통과성 확인
QAL333은 뇌혈관장벽(BBB)를 효과적으로 통과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또한 뇌조직에 적절하게 효과를 낼 수 있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뇌질환 치료제로 적합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쿼럼바이오 QAL333의 장점
당사 QSI는 진지페인을 방출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치매의 직접 원인이 되는 NLRP3 인플라마좀을 동시에 억제한다는 점에서 성공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항생제와 치매치료제는 모두 블록버스터급 신약후보입니다.  대략 항생제는 60조원, 치매치료제는 30조원 시장으로 추정되지만 내성 세균의 증가로 시장은 훨씬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신약개발 일정
신약개발 일정입니다. 2021년 5월경에 비임상에 진입하였습니다.  1년간의 비임상을 거쳐서 곧바로 치매치료제 임상에 돌입하게 됩니다. 당사가 개발하고 있는 QSI는 하나의 최종후보물질로 치매치료제 뿐만 아니라 슈퍼항생제로의 확장이 가능하다는 것이 큰 장점입니다. 적응증 확장 임상시험은 비임상, 임상1상 없이 곧바로 임상2상부터 가능하기 때문에 개발기간과 비용이 크게 절약될 수 있습니다. 코텍자임의 임상시험에 소요되는 기간이 대략 4년으로 예상됩니다. 코텍자임의 임상시험 프로세스를 잘 분석하여 진행한다면 임상시험 기간을 1년 정도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앞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쿼럼센싱은 모든 곰팡이 같은 진균을 포함하여 세균들의 공통적인 특성이고, 세균이 다르더라도 쿼럼센싱 수용체가 비슷하기 때문에 쉽게 적응증 확장이 가능합니다. 개발에 걸리는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매출원을 빠르게 늘려갈 수 있다는 점에서 QSI는 블록버스터 신약이 될 가능성이 충분합니다. 게다가 최근 연구는 QSI의 항암제까지 확장 가능성을 열어 두고 있습니다.

최근 암에 대한 연구에서 암세포의 성장과 전이과정에 세균들이 방출하는 인자가 관여한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QSI가 항암제로 개발될 가능성이 아주 크다는 것을 말해주는 결과입니다.

대장암 원인인 푸조박테리아 부착, 전이과정 억제
쿼럼바이오의 QAL 후보물질들은 푸조박테리움의 쿼럼센싱을 억제하여 부착인자 생성을 억제하여 대장암의 발전, 전이를 억제할 수 있습니다.

푸조박테리아, AI-2가 대장암의 주된 원인
푸조박테리아와 이 세균이 많이 방출하는 AI-2는 대장암의 주된 원인이라는 연구결과입니다. AI-2를 억제하는 쿼럼바이오의 후보물질은 대장암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습니다.


#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과 제품
저희가 현재 연구 개발하고 있는 쿼럼센싱 억제제 제품은 크게 마이크로바이옴제품과 의약품으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바이옴 제품은 우유발효추출물이고 신약개발물질은 새로 합성한 물질입니다.

QSI갈락토(큐시갈락토)는 마이크로바이옴제품 원료로 개발한 쿼럼센싱 억제제입니다. 유산균의 기능을 대체하지만 유산균에 비해 많은 장점이 있습니다. 우유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설탕의 1/3정도의 단맛이 나기 때문에 감미제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1~3% 농도에서도 효과를 보이기 때문에 식품에 첨가되더라도 맛과 성상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유산균처럼 단독으로 쓰이는 것이 아니라 첨가제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큐시갈락토가 유해균을 억제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하였습니다. 쿼럼센싱인자 AI-2은 유해균을 증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큐시갈락토는 AI-2의 작용을 차단하여 유해균의 집단행동을 억제합니다. 이러한 방식은 유산균이 유해균을 차단하는 방식과 매우 유사합니다. 최근 네이처에 발표된 논문에서는 유산균이 Fengycin이라는 물질을 분비하여 유해균의 쿼럼센싱을 억제함으로써 유해균을 억제한다고 발표하였습니다. 효능메커니즘을 규명한 것은 추후 기술성 평가에서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고, 치료분야의 응용이 활발해질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큐시갈락토는 유산균과 유사한 기능을 하지만 유산균에 비해 많은 장점이 있습니다. 유산균으로는 어려운 충치균과 치주균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고 구강유익균을 증가시킵니다.  또한 유산균은 균주별로 효능이 제한적이지만 큐시갈락토는 효능범위가 구강질환, 비만, 아토피, 뇌건강 등 아주 넓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위산에 영향을 받지 않고 대부분 안전하게 장까지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입니다. 이러한 안전성 때문에 큐시갈락토는 유산균과 달리 다양한 식품에 첨가제로 사용 가능하고 동물사료에도 첨가될 수 있습니다. 또한 치약, 가글, 화장품 등에도 기능성 원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큐시갈락토는 많은 동물실험을 통하여 효능을 입증하였습니다. 이 실험결과는 실험동물에게 고지방식을 급여하더라도 큐시갈락토를 같이 투여하면 비만이 생기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동물쥐 사진에서 고지방식을 먹인 쥐는 비만이 되었지만, 큐시갈락토를 같이 투여한 경우에는 정상이거나 날씬함을 유지하였습니다. 이렇게 시행한 비만실험 후 실험동물에서 채취한 장내 세균 분석에서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세균들이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또 다른 동물실험에서는 큐시갈락토가 아토피 개선에도 크게 효과가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습니다. 피부가 다 헐어버릴 정도로 심한 아토피가 있는 실험(왼쪽에서 2번째)쥐에게 큐시갈락토를 투여하면 피부질환이 거의 완치될 정도로 아토피가 개선된 것을 확인(4,5번째 사진)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효과는 전문의약품의 효과(왼쪽에서 3번째)와 유사할 정도로 효과가 있어서 마이크로바이옴 신약으로 개발도 가능합니다. 전문의약품은 면역억제제이기 때문에 장기간 복용이 어려우므로 대체약으로서 큰 효용가치가 있습니다.

큐시갈락토가 유해균을 억제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하였습니다. 쿼럼센싱인자 AI-2은 유해균을 증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큐시갈락토는 AI-2의 작용을 차단하여 유해균의 집단행동을 억제합니다. 이러한 방식은 유산균이 유해균을 차단하는 방식과 매우 유사합니다. 최근 네이처에 발표된 논문에서는 유산균이 Fengycin이라는 물질을 분비하여 유해균의 쿼럼센싱을 억제함으로써 유해균을 억제한다고 발표하였습니다. 효능메커니즘을 규명한 것은 추후 기술성 평가에서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고, 치료분야의 응용이 활발해질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큐시갈락토는 입안의 유해균을 억제하고 유익균을 증가시켜서 구강 마이크로바이옴을 건강하게 유지시켜줍니다. 입안에 유익균이 증가하면 충치, 잇몸병, 입냄새 억제효과 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곰팡이, 유해 화학물질 등이 구강점막을 통하여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습니다.

저희 쿼럼바이오는 우유에서 저비용으로 갈락토스를 분리하는 기술을 독자적으로 개발하여 현재 공장에서 대량 생산을 하고 있습니다. 생산단가를 훨씬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고, 시설과 장비를 크게 증설하는 것 없이 생산량을 증대할 수 있습니다.

큐시갈락토는 마이크로바이옴 시장과 펫푸드 시장을 동시에 공략할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바이옴은 빌게이츠가 2018년 세계를 바꾸게 될 세가지 중 하나로 거론될 정도로 성장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전세계 마이크로바이옴 시장은 100조 시장으로 크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펫푸트 시장은 놀라울 정도로 급성장을 하고 있고 2019년 124조원 시장규모로 항암제와 마이크로바이옴 시장보다 더 큰 시장입니다. 그리고 매우 가파른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거대한 시장을 동시에 공략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큐시갈락토는 시장성이 매우 뛰어납니다.

기술특례상장제도는 당장의 매출과 이익은 없지만 성장 가능성이 큰 기업에 대하여 기술성으로만 상장을 시켜주는 제도입니다. 그런데 2021년부터는 기술특례상장제도가 기술성보다는 사업성으로 무게중심이 이동하였습니다. 즉 기술의 시장성 측면을 더 중요시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당사에게 유리하게 작용합니다. 표에 정리된 내용에서 보시는 것과 같이, 쿼럼바이오는 쿼럼센싱이라는 혁신적인 기술로서 치매치료제 뿐만 아니라 항생제와 항암제까지 확장이 가능한 시장성이 뛰어난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차별적인 AI 신약발굴과 스크리닝 능력은 모방난이도가 높고 자립도가 높습니다. 그리고 큐시갈락토가 이미 양산과 제품화를 완료했기 때문에 시장성은 이미 검증을 마쳤고, 다양한 제품으로 확장이 가능하고, 유산균에 비해 가격경쟁력이 매우 우수하다는 점은 시장성에서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습니다.

쿼럼바이오는 신약물질 발굴, 합성, 효능평가를 내부적으로 모두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보안유지, 개발속도에서 차별성이 있고, 파이프라인을 빠르게 확충할 수 있습니다. 슬라이드에 각각 정리된 내용에서 보실 수 있듯이 신약발굴에서는 2013년 연구를 시작하면서부터 AI, big data, MD를 활용하여 신약 탐색과 디자인을 하였기 때문에 노하우가 축적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발굴된 신약을 자체적으로 합성할 수 있기 때문에 속도와 보안적인 측면에서 매우 큰 장점이 있습니다. 게다가 20년간 축적된 평가시스템, 즉 효능 스크리닝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은 큰 경쟁력입니다. 실제로 이러한 Whole 시스템을 통하여 신약후보 QSI와 큐시갈락토가 빠르게 개발되었습니다.

기술특례상장

# 기술특례상장 추진일정 (2022년)
치매치료제 또는 슈퍼항생제가 임상1상에 진입한다면 상장 가능성은 한층 더 높아질 것이고, 큐시갈락토 해외시장 진출이 성공적으로 진행된다면 코스닥 상장에는 큰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 확신합니다.

정리된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이전에 기술특례심사를 통과한 기업들과 비교를 해 보시면 쿼럼바이오는 기존 상장업체들의 장점을 여러 개 갖추고 있기 때문에 기술수준이 상당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국내 최초로 쿼럼센싱 억제제를 자체적으로 전과정을 개발할 수 있는 능력과 AI신약발굴과 스크리닝에서 축적된 노하우가 있습니다. 그리고 기술특례기업에서 갖추기 힘든 매출과 이익실현까지 있다는 점에서 상장의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것에 많이 공감하실 것 같습니다.

이미 큐시갈락토 기술은 2018년에 기술평가를 받았고 상장가능등급인 t4등급(BBB)을 받았습니다. 당시에는 양산을 준비중인 단계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등급을 받았고, 지금은 양산에 성공하고 매출도 올리고 있기 때문에 1,2단계 더 높은 기술평가등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충분히 기술평가를 통과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습니다.


# 매출계획 - 큐시갈락토 관련 제품 출시

 

기업소개

심재현 대표이사는 서울대 화학부를 졸업하고 석사에서는 효소관련 연구를 하였고, 고등과학원과 숭실대학교에서는 에서는 단백질 3차구조 모델링과 Drug Design을 연구하였습니다. 심재현 대표의 장점은 AI, 빅데이터, MD를 활용하여 쿼럼센싱 억제제 신약을 디자인하고 발굴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의학, 화학, 생물학에도 전문 통합지식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도 의약품 개발에서는 큰 장점입니다.

쿼럼바이오는 서울대, 숭실대, 고려대 교수들과 연구협력을 하고 있고, 협력교수님들이 모두 대주주이거나 사외이사이기 때문에 연구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쿼럼센싱 억제제 개발 국가연구과제를 수행했던 연구원들이 대부분 회사로 와서 연구를 이어가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고 성과가 뛰어납니다.

쿼럼바이오는 쿼럼센싱 억제제를 자체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시스템을 모두 갖추고 있습니다. 쿼럼센싱 억제제 수용체단백질을 기반으로 AI, Big Data, Molecular dynamics, 모델링을 통하여 신약후보물질을 탐색하거나 디자인합니다. FDA libraries를 탐색하는 시스템도 이미 갖추고 있습니다. 발굴된 신약후보물질을 직접 합성할 수 있습니다. 화학적 합성을 할 수 있는 곳은 아주 극소수에 불과합니다. 또한 합성된 신물질의 효능을 스크리닝 할 수 있는 20년간 축적된 기술이 있다는 것이 무엇보다도 큰 차별점입니다. 쿼럼센싱 억제제의 효능을 체계적으로 스크리닝할 수 있는 곳은 국내에는 유일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한 동물실험을 할 수 있는 박종환 교수가 사외이사로 있습니다. 이러한 전체 통합적인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후속 파이프라인을 신속하게 확충할 수 있습니다.

인력 및 시설

# 심재현 대표이사/연구소장
서울대학교 화학부 학사/석사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석사 (치과의사 면허)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박사수료 (치아미백, 쿼럼센싱 등)
치아미백제 개발 및 제품화 (광촉매, 음이온미백 등 특허등록 4건)
쿼럼센싱 억제제 개발 (SCI 논문 3편, 특허출원 3건)
현 서울앞선치과 대표원장 (2009.11 ~ 현재)
고등과학원 연구원 (Drug design, 단백질 모델링, 2003.3 ~ 2004.9)
SCI논문 10여편 (제1저자 4편)

최근논문
Drug design 및 modeling 관련 논문 (제1저자, 2015년)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rigid domains and hinge residues in proteins based on exhaustive enumeration". Jaehyun Sim, Jun Sim, Eunsung Park, and Julian Lee. Proteins:Structure,Function,and Bioinformatics 83 (2015) 1054-1067.

쿼럼센싱 억제제 바이오필름 억제 효과 (제2저자, 2016년)
"D-Galactose as an autoinducer 2 inhibitor to control the biofilm formation of periodontopathogens".   Eun-Ju Ryu, Jaehyun Sim, Jun Sim, Julian Lee, and Bong-Kyu Choi. Journal of Microbiology 54 (2016) 632.

# 서울대 치과융합 연구조직 : 쿼럼센싱 개발관련 핵심 대주주들로 구성된 연구지원 조직으로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1) 최봉규: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교수 (구강미생물학)
(2) 김병문: 서울대학교 화학부 교수 (의약화학)
(3) 이주련: 숭실대학교 의생명시스템학부 교수 (Drug design)
(4) 구기태: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치주과 교수 (동물, 임상시험)

# 연구인력
류은주 연구원 (연구담당 이사)
서울대학교 치의과학 석사 (쿼럼센싱 억제제)
보건복지부 쿼럼센싱 억제제 연구개발사업 참여 (2013.12 ~ 2016.12)
담당연구: 쿼럼센싱 억제제 (SCI논문 5편, 특허출원 4건)
최근논문: 쿼럼센싱 억제제 바이오필름 억제 효과 (제1저자, 2016, 2017년)
“ New bicyclic brominated furanones as potent autoinducer-2 quorum-sensing inhibitors against bacterial biofilm formation.” Eun-Ju Ryu, Ji Su Park, Linzi Li, Bong-Kyu Choi, B. Moon Kim. European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137 (2017), 76-87.
"D-Galactose as an autoinducer 2 inhibitor to control the biofilm formation of periodontopathogens".   Eun-Ju Ryu, Jaehyun Sim, Jun Sim, Julian Lee, and Bong-Kyu Choi. Journal of Microbiology 54 (2016) 632.

김윤지 연구원
서울대학교 치의생명과학 석사
진균생명공학연구소 (2010 ~ 2012)
한미약품 (2012 ~ 2013)
국제백신연구소 (2016 ~ 2017)
담당연구: 쿼럼센싱 억제제
최근논문: 세균 및 미생물 관련 논문 (제1저자, 2016년)
Kim YJ, Choi YS, Baek KJ, Yoon SH, Park HK, Choi Y. Mucosal and salivary microbiota associated with recurrent aphthous stomatitis. BMC Micorbiol, 2016 Apr 1;16 doi:10.1186/s12866.

강현지 연구원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학사
가천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연구원 (2011.1 ~ 2014.7)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생화학교실 (2014.8 ~ 2016.2)
쿼럼바이오(주) 연구원 (2016.2 ~ 현재)
담당연구: 연구행정, 치아미백, 치약

Li Linzi 연구원
서울대학교 화학부 의약화학 석사
슈퍼항생제 신약 후보물질 합성
쿼럼바이오(주) 연구원 (2018.7 ~ 현재)
담당연구: 신약 후보물질 합성
최근논문: 쿼럼센싱 억제제 (2017년)
“New bicyclic brominated furanones as potent autoinducer-2 quorum-sensing inhibitors against bacterial biofilm formation.” Eun-Ju Ryu, Ji Su Park, Linzi Li, Bong-Kyu Choi, B. Moon Kim. European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137 (2017), 76-87

심준 연구원
숭실대학교 의생명시스템 석사
쿼럼센싱 억제제 갈락토스 발굴
쿼럼바이오(주) 연구원 (2018.8 ~ 현재)
담당연구: 쿼럼센싱 억제제, 식약처 대응
최근논문: Drug design 및 modeling 관련 논문 (공동1저자, 2015년)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rigid domains and hinge residues in proteins based on exhaustive enumeration" . Jaehyun Sim, Jun Sim, Eunsung Park, and Julian Lee. Proteins:Structure,Function,and Bioinformatics 83 (2015) 1054-1067.

김혜은 연구원
고려대학교 식품 및 화공생명공학 학사
서울아산병원 아산생명과학연구원 (2009.09~2012.01)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생화학분자생물학교실 (2015.03~2017.02)
삼성서울병원 미래의학연구원 (2017.06~2018.04)
쿼럼바이오㈜ 연구원 (2018.09~현재)
담당연구: 쿼럼센싱 억제제
최근 논문: (제1저자, 2012년)
Frequent Amplification of CENPF, GMNN and CDK13 Genes in Hepatocellular Carcinomas

임상은 연구원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학사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식품영양학(식품미생물) 석사
쿼럼바이오㈜ 연구원 (2020.06~현재)
담당연구: 쿼럼센싱 억제제
최근 논문:
(제1저자, 2019년)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rmostable L-asparaginase from Bacillus amyloliquefaciens MKSE in Korean soybean paste

(제2저자, 2017년)
Bacillus subtilis를 이용한 발효 감자칩의 감자 품종에 따른 아크릴아마이드 저감화 비교


부설연구소 :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생체연구동 501-1

부설연구소 내부사진

 

부설연구소 내부사진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공동기기실 : 기기&장비 공동 사용

FACS, HPLC, 전자현미경, Micro CT, 동물실험실 등 최첨단 장비 보유



쿼럼바이오 QSI 공장
소재지:  경기 파주시 송학 1길 21-2(야당동)





쿼럼바이오 제약공장 (의약외품 공장)
소재지 : 경기도 파주시 운정로 146-34

재무추정

구 분

2021(F)

2022(F)

2023(F)

매출액

10억원

75억원

150억원

영업이익

-16억원

11억원

45억원

순이익

-16억원

20억원

40억원


추정근거
2021년은 코로나 위기로 인해 치약, 치아미백제, 화장품 등의 해외수출 건들이 계약직전까지 갔다가 무산된 것이 많아 매출에 심각한 타격을 입었습니다. 국내 매출 또한 경기 침체가 이어지면서 목표하였던 매출에 한참 못 미쳤지만 지난 4분기 닥터쿼럼 옵틱케어 전동칫솔을 출시하였고, 큐시갈락토 제품, 치약, 화장품 등의 제품도 같이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2022년 매출을 끌어 올릴 예정입니다.

닥터쿼럼 옵틱케어 전동칫솔 
미국 크라우드펀딩 사이트인 킥스타터를 통해서 1.5억원의 매출을 달성하였습니다. 킥스타터를 통해 대만, 일본 등 세계 각국에서 문의가 들어오고 있고, 아마존을 통한 후속 판매도 준비중에 있습니다. 국내에는 본격적으로 판매 중에 있고, 2022년 크게 매출이 성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큐시갈락토 제품
큐시갈락토 동물제품을 신규로 출시하였고,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도 킥스타터를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공략할 예정입니다. 코로나 시대에 면역력 제품으로 공격적인 마케팅과 영업활동을 벌인다면 당해 년도 목표매출인 6~8억 달성은 충분히 가능합니다.

치약, 손소독제 등 OEM
비록 코로나로 인해서 영업활동에 위축을 받았지만 온라인을 중심으로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고 현재 접촉중인 업체가 100곳이 넘을 정도로 활발하게 영업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2020년에 공장증설은 완료하였으며 본격적으로 풀가동한다면 올해 12~14억원의 매출이 가능합니다.

기타 제품
치약, 손소독제, 화장품 등의 제품으로 올해 6~8억원 매출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기업가치평가

시장접근법
코로나 시대로 접어들면서 신약과 건강기능식품을 개발하는 바이오 기업들이 높은 미래가치를 인정받고 있고, 실제로 다수의 바이오 기업들은 높은 실적으로 기업가치가 수직 상승하였습니다

슈퍼항생제를 연구개발하고 있는 기업으로 ‘레고켐바이오’와 ‘인트론바이오’가 있습니다. ‘레고켐바이오’는 2021년 3월 현재 시가총액 1조 3천억원이며, 올해 추정매출 456억원, 당기순이익 57억원 정도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다만 적자지속 후 라이선스 아웃으로 터닝어라운드를 막한 케이스입니다.  ‘인트론바이오’는 2021년 3월 현재 시가총액 7.8천억원이며, 2020년 9월 기준 수익 336억원/당기순이익 109억원의 실적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전임상단계의 항암 신약 연구개발 기업이 기업가치 300억원 중반대로 와디즈 W9과 주요 증권사, VC로부터 투자유치를 하였습니다.

신약의 종류와 시장의 크기, 난이도, 포텐셜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전임상단계의 바이오기업들은 300억원대 이상의 기업가치로 투자유치가 이뤄지기도 합니다.


수익접근법
치매치료제 가치 산정
저희 쿼럼바이오는 치매치료제의 연평균 성장을 16%로 가정(datamonitor healthcare, 2016자료근거)하였고, 비임상전으로 성공확률을 가장 극단적인 1%를 적용하였으며 WACC 12%, 세율 20%, 제조 및 마케팅비 30%, 마진 90% 적용을 하였을 시에 약 1,280억원 정도의 가치가 산정됩니다.

물론 이것은 가장 보수적인 기준을 적용하여 측정한 것이며, 실질적으로 저희의 신약은 성공확률이 평균적인 10%보다 높은 밴드로 최소 20~30%는 된다고 자체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평균적인 성공확률로만 가정하여도 가치는 약 1조 2800억원 정도의 가치가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여러 정황상 가장 보수적인 가치로 산정하는 것이 합리적으로 생각되어 약 1,280억원의 가치로 평가(주당 74,710원) 하였습니다.

마이크로바이옴 가치평가
저희 쿼럼바이오는 마이크로바이옴(반려동물 사료시장)의 연평균 성장율을 국내 10%(농촌경제연구원 2016 근거), 국외 7%로 가정(삼성증권 글로벌 리서치 chewy chewy 2020 근거)하였고, WACC 12% 적용, 세율 20%, 제조 및 마케팅 비 30%적용, R&D비용 10%, 마진 90% 적용을 하였을 시에 국내 가치 261억원(주당 가치 15,172원), 국외 가치 741억원(주당 가치 43,161원)정도의 가치가 산정됩니다. 종합하면 쿼럼바이오의 사료사업의 주당 가치는 58,333원입니다.

수익접근법에 의한 쿼럼바이오의 가치 추정
[A(치매치료제): 1,280억] + [마이크로바이옴(국내+해외): 261억 + 741억] = 2,282억원 추정    
결론적으로, 현재 쿼럼바이오를 시장접근법 혹은 수익접근법으로 가치를 평가하였을 시, 평가액은 금번 펀딩의 경우보다 현저히 높은 수준입니다. 이번 펀딩에서 제시하는 주당 가격 11,000원(기업가치평가액 약 417 억원)은 현저히 저평가 된 수준으로 보여집니다.